신선식품 37.4% ↑…배추.파값 크게 올라

신선식품 37.4% ↑…배추.파값 크게 올라

입력 2010-12-01 00:00
수정 2010-12-01 08: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소비자 물가는 한달만에 3%대 복귀

 이상기온에 따른 작황부진 등의 여파가 이어지면서 채소,생선 등 신선식품 물가가 작년에 비해 37.4%나 올랐다.

 특히 배추와 파,토마토,무는 100% 이상 폭등해 서민 장바구니에 적지 않은 부담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7.4% 상승했다.10월에 49.4% 올랐던 것에 비해서는 수급이 개선되면서 전월 대비로는 11.3% 하락했다.

 그러나 작년에 견주어볼 때 주요 채소와 생선 가격의 폭등세는 여전했다.

 배추와 파는 11월에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0.8%와 113.9%나 올랐으며 토마토(104.2%)와 무(178.9%)도 급등했다.

 마늘(97.3%),귤(41.4%),사과(30.6%),배(43.6%),오징어(48.6%),고등어(39.0%),열무(73.0%) 등의 가격 상승세도 컸다.

 통계청측은 “신선식품 물가가 여전히 높기는 하지만 지난달보다는 진정되는 모습”이라면서 “10월에 배추 등 신선식품 물가가 많이 오른 영향이 11월에도 일정 부분 미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11월 전체 소비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3.3% 상승해 한 달 만에 3%대로 복귀했다.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작년 4월 이후 9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섰으나 2~8월 2%대로 내려갔다가 9월 3.6%,10월 4.1%까지 올라갔다.

 전체 소비자 물가는 전월 대비로 0.6% 떨어져 5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식료품 등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3.6% 올랐고 전월 대비로는 1.2% 내렸다.농산물.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1.8% 상승하고 전월에 비해서도 0.1% 올랐다.

 부문별로 작년 동월 대비 증가 폭을 살펴보면 농산물(28.7%)과 수산물(11.8%)의 가격이 크게 올라 농축수산물이 17.9% 올랐고,공업제품은 2.1% 상승했다.서비스 부문은 1.8% 오른 가운데 공공서비스가 0.8%,개인서비스와 집세가 각각 2.3%,2.2%의 상승률을 보였다.

 소비자 물가 기여도(작년 동월비)는 농축수산물 부문이 1.47%포인트로 가장 높아 물가 상승세를 주도한 흐름이 이어졌다.이어 서비스 부문이 1.07%포인트,공업제품은 0.68%포인트였다.

 작년 동월 대비 품목별 물가 상승률은 공업제품 중에서는 국제 금값 급등에 따라 금반지가 18.0% 올랐고 자동차용 LPG(8.9%),등유(7.1%),경유(4.8%),휘발유(3.8%),김치(13.3%)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전세(2.6%)와 월세(1.5%)도 상승세를 보였으며 유치원 납입금(6.0%),종합 대입학원비(4.9%),해외 단체여행비(9.6%) 등도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이동전화통화료(-1.5%)와 학교급식비(-3.5%),컴퓨터본체(-18.4%) 등은 하락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