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변액보험(보험료 일부를 주식·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돌려주는 보험) 좀 들어볼까 하는데 A생명보험사 ‘진심의 차이’ 어때요? 연금보험도 관심이 있고요.
독립보험대리점(GA) 설계사 그것도 좋지만 변액은 B생보사의 ‘실버플랜변액유니버셜’ 보험이 인기인데, 한번 보세요. 연금도 같은 B사의 ‘건강해지는 연금보험’이 괜찮아요.
무슨 광경이냐고요? 최근 보험에 들려던 한 30대 직장인이 GA를 찾아갔더니 이렇게 한 보험사 상품만 티 나게 추천했다고 합니다. GA의 ‘특정 보험사 밀어주기’는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GA들이 수수료를 많이 주는 보험사, 사무실 등 임차 지원을 해주는 보험사 상품을 대놓고 팔아치우다 보니 불완전판매는 물론 보험사·GA 간 검은 유착의 씨앗이 되곤 하지요.
●GA 유사상품 3개 비교·설명 판매 의무화
당초 GA라는 게 백화점처럼 여러 보험사 상품을 구비해 놓고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권유한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데 그 취지가 무색해진 겁니다.
그래서 금융 당국은 조만간 GA에서 상품을 팔 때 동종·유사상품을 3개 이상 반드시 비교·설명하는 것을 의무화할 예정입니다. 수수료 위주로 상품을 판매하는 관행을 차단하겠다는 것이지요. 은행에서 보험을 팔 때(방카슈랑스) 반드시 같은 종류의 상품을 3개 이상 설명하도록 한 데서 착안한 겁니다.
최근 GA가 갈수록 대형화되면서 주요 판매채널로 정착됐기 때문인데요. 설계사나 온라인 같은 여러 판매 채널 중 GA의 신규 영업실적 비중(2014년 기준)은 생보사의 경우 7.8%, 손보사는 44.0%입니다.
●단순 비교 힘들어 현실성 부족 반론도
반론도 있습니다. 여러 보험 상품을 비교한다 해도 어느 상품이 좋은지 고객이 알기 힘들고 결국 GA 설득에 넘어갈 수 있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이지요. 한 보험사 관계자는 “유사 상품 자동 비교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판매하려고 하는 상품보다 조건이 안 좋은 회사의 상품만 선택해서 비교 설명하면 결과가 뻔하다”고 지적합니다. 동일 담보인 자동차와 달리 회사별 담보가 다른 보장성보험은 실질적인 비교가 쉽지 않아 실효성이 낮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행이 어렵다고, 확인이 힘들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게 더 어리석은 게 아닐까요. 작은 첫걸음이라도 떼야 보험사와 GA의 검은 공생을 끊어내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고객의 성향’보다 ‘보험사의 수수료’만 따져 상품을 판 일부 GA가 자정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무슨 광경이냐고요? 최근 보험에 들려던 한 30대 직장인이 GA를 찾아갔더니 이렇게 한 보험사 상품만 티 나게 추천했다고 합니다. GA의 ‘특정 보험사 밀어주기’는 어제오늘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GA들이 수수료를 많이 주는 보험사, 사무실 등 임차 지원을 해주는 보험사 상품을 대놓고 팔아치우다 보니 불완전판매는 물론 보험사·GA 간 검은 유착의 씨앗이 되곤 하지요.
●GA 유사상품 3개 비교·설명 판매 의무화
당초 GA라는 게 백화점처럼 여러 보험사 상품을 구비해 놓고 고객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권유한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인데 그 취지가 무색해진 겁니다.
그래서 금융 당국은 조만간 GA에서 상품을 팔 때 동종·유사상품을 3개 이상 반드시 비교·설명하는 것을 의무화할 예정입니다. 수수료 위주로 상품을 판매하는 관행을 차단하겠다는 것이지요. 은행에서 보험을 팔 때(방카슈랑스) 반드시 같은 종류의 상품을 3개 이상 설명하도록 한 데서 착안한 겁니다.
최근 GA가 갈수록 대형화되면서 주요 판매채널로 정착됐기 때문인데요. 설계사나 온라인 같은 여러 판매 채널 중 GA의 신규 영업실적 비중(2014년 기준)은 생보사의 경우 7.8%, 손보사는 44.0%입니다.
●단순 비교 힘들어 현실성 부족 반론도
반론도 있습니다. 여러 보험 상품을 비교한다 해도 어느 상품이 좋은지 고객이 알기 힘들고 결국 GA 설득에 넘어갈 수 있어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이지요. 한 보험사 관계자는 “유사 상품 자동 비교 시스템을 구현한다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판매하려고 하는 상품보다 조건이 안 좋은 회사의 상품만 선택해서 비교 설명하면 결과가 뻔하다”고 지적합니다. 동일 담보인 자동차와 달리 회사별 담보가 다른 보장성보험은 실질적인 비교가 쉽지 않아 실효성이 낮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행이 어렵다고, 확인이 힘들다고,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게 더 어리석은 게 아닐까요. 작은 첫걸음이라도 떼야 보험사와 GA의 검은 공생을 끊어내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고객의 성향’보다 ‘보험사의 수수료’만 따져 상품을 판 일부 GA가 자정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6-01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