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한파… 작년 취업자 증가 9년 만에 최악

고용 한파… 작년 취업자 증가 9년 만에 최악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01-09 23:10
수정 2019-01-10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조업 악화… 12월 실업률 3.4%

정부가 대규모 예산을 투입해 일자리를 만들었지만 지난해 취업자수 증가가 9만 7000명으로 2009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숫자는 늘었지만 정부가 만든 단기 공공일자리 등을 제외하면 사실상 줄어들었다. ‘고용 한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2663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4000명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해 7월(5000명)과 8월(3000명) 간신히 마이너스를 면하다 11월(16만 5000명) 반짝 회복세를 보였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폭이 5만명 미만으로 떨어졌다. 정부가 지난해 10월 ‘고용 참사’에 대한 대책으로 고용기간이 1개월에서 1년인 단기 일자리 5만 9000개를 공급하기로 한 점을 고려하면 취업자수는 되레 줄어든 셈이다. 지난해 12월 실업자는 94만 4000명으로 3만 1000명 늘었다. 실업률은 0.1% 포인트 오른 3.4%로 12월만 보면 2010년(3.5%) 이후 가장 높았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주력 산업인 제조업의 취업자수가 12만 7000명 줄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황비웅 기자 list@seoul.co.kr

2019-01-10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