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월 국세 8.5조·법인세 17.8조 덜 걷혔다… 새해 3년 연속 ‘세수 펑크’ 우려

1~11월 국세 8.5조·법인세 17.8조 덜 걷혔다… 새해 3년 연속 ‘세수 펑크’ 우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5-01-01 00:00
수정 2025-01-01 06: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국세 315.7조·법인세 60.2조

이미지 확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4.8.8 도준석 전문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부동산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4.8.8 도준석 전문기자


2024년 11월까지 국세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8조 5000억원 줄어든 315조 7000억원 징수됐다.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펑크’를 낸 법인세는 17조 8000억원 덜 걷혔다. 2024년 기업 실적 부진으로 3년 연속 세수 결손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31일 발표한 2024년 11월 국세 수입 현황에 따르면 11월 누적 국세 수입은 315조 7000억원으로 세입 예산(목표치) 대비 진도율(달성률)이 86.0%로 집계됐다. 세수 목표치 367조 3000억원에 51조 6000억원(14.0%) 부족한 액수다. 전년 같은 기간 진도율 94.2%, 최근 5년 평균 94.2%에 크게 못 미친 수준이다. 12월 남은 기간에 전년 같은 달 실적인 19조 8000억원을 걷으면 세수 펑크 규모는 31조 8000억원이 된다. 앞서 정부가 지난 9월 재추계한 결손 규모는 29조 6000억원이었다.

11월 누적 법인세수는 60조 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조 8000억원(22.8%), 증권거래세는 4조 4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 2000억원(21.9%) 덜 걷혔다. 법인세가 감소한 이유는 기업의 2023년 영업이익 실적이 저조했기 때문이다. 증권거래세가 급감한 건 기업의 경영 부진이 2024년까지 이어져 증시가 불황에 빠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새해에도 법인세수 회복이 녹록지 않다는 의미다.

2025년 예산상 법인세수 목표치는 88조 2500억원으로 2024년 77조 7000억원에서 규모가 10조 5500억원(13.6%) 커졌다. 기업 경영 실적 악화로 법인세수 실적이 계속 저조하면 3년 연속 세수 펑크가 불가피하다.

2025-01-0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