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안정화대책 이후 1년
1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고덕동은 단연 손꼽히는 올봄 전세난의 예상 진앙지다. 16일 고덕시영아파트 2500여 가구가 재건축 이주를 시작하고, 6월부터 고덕주공 4·7단지 1300여 가구도 집을 비운다. 인근 송파구 가락시영의 이주 수요와 겹치면 전셋값 상승을 부채질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올 상반기 강동, 서초, 강남, 송파 등 이른바 강남4구에 예정된 재건축 이주가구만 1만 가구에 달한다. 반면 새로 입주하는 가구는 1000여 가구에 그쳐, 전세대란을 코앞에 둔 셈이다.
이에 따라 올 초에만 고덕시영 인근 아파트 전셋값은 3000만원 이상 올랐다.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주공2단지(공급면적 52㎡) 전세가가 지난해 말 9000만원 안팎에서 현재 1억 3000만원까지 뛰었다.”고 전했다.
상황이 지난해 7월 강남구 대치동과 비슷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대치동 청실아파트 재건축 이주 수요(1446가구)와 우성2차 리모델링 이주(354가구)가 겹쳐 가을 전세대란의 도화선이 됐다. 정부도 강동구의 전세난 조기 진화를 위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대치동 W공인 관계자는 “당시에는 갑자기 5000만~1억원을 올려도 거래가 됐다.”면서 “전세수요가 늘면서 1000가구 이상 밀려나오자 감당하기 어려웠다.”고 전했다.
엑소더스 행렬이 본격화하면서 당시 새 집을 구하지 못한 이주 대상자들은 인근 강남구 개포·일원·도곡동, 서초구 양재·서초동, 송파구 잠실동 등으로 흘러들며 전세난을 퍼뜨렸다. 이곳에서 밀려난 전세난민은 다시 외곽으로 이주하며 ‘풍선효과’를 키웠다.
업계에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월을 전셋값 상승랠리를 앞둔 바닥다지기 시점으로 해석한다. 정부는 지난해 서둘러 1·13대책을 내놓았으나 1년이 지난 지금 평균 전세가는 오히려 상승했다. 박정욱 부동산써브 연구원은 “보합세에 머물던 강동구 전셋값이 지난주에 급등했다.”면서 “고덕동과 대치동의 진앙지만 다를 뿐 이주 수요가 몰리는 현상은 비슷하다.”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1-16 1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