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전당포/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전당포/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03-01 00:00
수정 2010-03-01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채업의 일종인 전당포(典當鋪)는 물건을 담보로 높은 이자에 돈을 빌려주는 곳이다. 그런데 1990년대부터 전당포라는 이름을 내건 점포들이 크게 줄었다. 아니 찾아보기 힘들다. 최근에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해 캐싱(Cashing)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Pawn Bank’, 혹은 ‘Pawn Shop’이라고 한다. 한국이나 일본의 미군부대 밀집지역에 가면 볼 수 있다.

도스토옙스키의 ‘죄와 벌’은 전당포가 핵심 무대다. 1866년에 죄와 벌이 나왔으니 그 이전의 러시아 대도시에 전당포가 있었다는 얘기다. 도스토옙스키는 주인공 라스콜리니코프의 입을 빌려 전당포 주인 노파를 해충인 송충이나 이, 벌레로 표현했다. 보석, 금·은 시계 등을 전당물로 잡아 ‘하루만 지나도 물건을 처분해 버리고, 이자만 한 달에 5부 내지 7부씩 받고, 물건의 반값도 안 되는 돈에 전당을 잡는’ 악질적인 수전노로 묘사했다.

조선시대에는 전당포가 없어 급하면 부자에게 돈을 빌려 썼다. 전당포는 일본인들의 사채업이 시초다. 19세기 말 한국침탈 이후 민족의 고혈을 짜내 갔다. 1910년쯤 경기도에만 150여곳이 있을 정도로 조선인들도 모방해 창업했다. 당시 서민을 위한 금융기관이 없어 돈의 융통이 힘들었다. 전당포는 서민들이 급전을 융통할 좋은 장소가 됐다. 높은 이율은 전당포 주인을 고리대금 업자로 보게 했다. 종종 강도들의 범죄 목표였다.

전당포에서 취급하는 품목은 세월에 따라 바뀌었다. 1970년대에는 카메라, 시계 등이 인기였고 80년대에는 비디오, 휴대용 녹음기 등이 인기를 끌었다. 실제로 70년대 서민들은 급전이 필요하면 전당포에 가 시계, 반지 등을 맡기고 돈을 융통했다. 많은 경우 기한 내에 갚기도 했지만 귀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물건은 포기해 버렸다. 특히 지방 출신 대학생이나 술꾼들이 전당포를 자주 이용했다. 요즘엔 명품가방 등이 맡겨진다.

최근 울산에서 30대 도둑이 훔친 노트북을 담보로 돈을 빌리려 전당포에 갔다가 마침 잠복근무 중이던 경찰에 붙잡혀 입건됐다. 새벽에 술집 앞에서 만취해 쓰러져 자는 시민의 가방을 훔쳤는데 그 안에 노트북과 디지털 카메라, MP3 등 170만원 상당의 물품이 들어 있었다. 도둑은 날이 새자 인근 전당포로 가 노트북 등 물건을 담보로 돈을 조달하려다 경찰에 붙들린 것이다. 전당포는 여전히 절도범들이 선호하는 장물 처분처이다. 전당포 이미지가 나쁜 다른 이유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03-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한강'의 새로운 영문표기 'Hangang River'
서울시가 ‘한강’의 영문표기와 관련해 'Hangang River'로 통일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불필요한 의미 중복이라는 지적이 나오며 이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Hangang River'가 맞다고 생각한다.
'Han River'가 맞다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