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아 사회부 기자
13일 자 서울신문에 ‘학교폭력 주변 학생들도 트라우마’라는 기사가 실렸다. 주로 학교폭력의 피해 학생들에게 집중적인 심리치료가 이뤄지지만, 학교폭력에 직접 노출되지 않은 주변 학생들이 받는 스트레스도 크다는 내용이었다. 따돌림 당하던 친구가 자살한 충격 때문에 우울증에 걸린 중학생, 따돌림 당하는 친구를 도와줬다가 오히려 폭행을 당한 뒤 사람을 싫어하게 된 고등학생의 사례 등은 폭력이 당사자뿐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실제로 기자의 그 기사가 게재된 뒤 사흘 만에 A양이 자살을 했다.
학교폭력은 정도의 차이일 뿐 항상 있어 왔던 일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누군가가 자살이라는 최악의 선택을 한 뒤에야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는다. 사람의 생각은 의외로 단순하다. 정책은 더 그렇다. 심리치료는 피해 학생에게나 필요한 처방이고, 벌은 가해 학생에게만 내려지면 된다고 믿는다. 그러나 폭력에는 엄연한 제3의 영역이 존재한다. 폭력 현장을 지켜봤거나 그 폭력에 맞서고 싶어도 그러지 못해 마음의 병을 앓는 ‘주변 학생’들이 그들이다.
지금 이 순간, 이런 자책감에 힘겨워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터놓고 말할 상대가 없어 더 괴롭거나, 문득 평온 속을 파고 드는 폭력의 기억 때문에 진저리 치는 학생들도 있을 것이다. ‘피해자’와 ‘가해자’라는 이분법적 폭력 인식의 그늘에서 그들이 앓고 있다. 폭력에 여린 속살을 베인 그들이 대책도 없이.
jin@seoul.co.kr
2012-01-2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