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eye]UN 포럼에서 외친 우리의 학교폭력/이윤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아이eye]UN 포럼에서 외친 우리의 학교폭력/이윤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9-08-13 10:34
수정 2019-08-13 1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윤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이윤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기자단
나는 매일 핸드폰에서 울리는 알람을 끄는 것으로 아침을 시작한다. 수업시간에 핸드폰을 제출 할 때를 제외하고 핸드폰은 항상 내 손에 쥐어져 있다. 페이스북에서 나의 일상을 친구들과 공유하고 친구들의 일상 게시물에 ‘좋아요’ 버튼을 누르기도, 댓글을 달기도 한다. 친한 친구와 카카오톡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고 여러명의 친구들과 단체 카톡방을 만들어 수다를 떨기도 한다. 나는 가끔 유튜브를 보고 필요한 정보는 스마트폰을 통해 금방 찾아볼 수 있다. 만 14세, 평범한 중학생인 나의 일상에 스마트폰이 얼마나 가까이에 있는지 새삼 느끼게 된다.

스마트폰 덕분에 정보에 접근하는 것이 쉬워졌고 재미있는 것들로 일상이 가득해졌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편리한 생활을 누리게 된 반면 어떤 사람들은 생명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얼마 전 ‘열여섯 여고생 벼랑 끝 내몬 온라인 집단 따돌림’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익명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만난 여학생들 사이의 사소한 말다툼이 집단 공격으로 이어져 한 명이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내용이었다. 처음에는 ‘단톡방 나가버리면 되지...’, ‘부모님이나 선생님한테 말씀드리면 되지 왜 아까운 생명을...’하는 궁금증에 관련 기사들을 더 찾아보았다. 그런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사이버상에서 일어나는 폭력은 더 심각한 모습이었다. 입에 담을 수 없는 무서운 협박과 욕설을 하는 것은 기본, 익명의 공간이었던 SNS에서 상대방의 신상을 아는 것 또한 순식간이었다. 가해자들은 언제든지 나를 찾아올 수 있고 나와 내 주변 사람들을 해코지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 나 역시도 무섭고 겁이 나서 어딘가로 숨고 싶을 것만 같았다. 익명의 공간에서 누군가는 살인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나는 학교폭력의 문제가 몸싸움, 언어 싸움, 왕따 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온라인상으로까지 퍼져 나가 그 피해와 정도가 더 심각해진다고 느꼈고 이를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었다.

마침 지난 7월 내가 활동하고 있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 SDGs(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을 점검하는 UN 포럼에 한국 아동 대표로 참여할 기회가 생겨 미국 뉴욕에 다녀왔다. 나는 국제어린이재단연맹에서 준비한 이벤트에서 UN 관계자들과, 시민사회 관계자, 그리고 여러 어른들 앞에서 “학교폭력에 관해 또래 간의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뿐만 아니라 사이버불링(cyberbullying)까지 점점 피해와 그 정도가 커지고 있고 한국의 많은 청소년들이 고통 받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 내고 있지만 피부에 와 닿을 정도의 실질적인 대안이 되지는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 정부는 아동들을 위한 정책을 만들기 전에 아동의 의견을 듣고자 노력해야 하고 아동의 참여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도록 많은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 신생아 출생률이 굉장히 저조하다는 뉴스를 자주 보게 된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라고 제발 무서운 폭력으로부터 우리들을 보호해달라고 말하고 싶다. 그런 일이야말로 미래에 태어날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서울신문은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과 함께 어린이, 청소년의 시선으로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는 ‘아이eye’ 칼럼을 매달 1회 지면에, 매달 1회 이상 온라인에 게재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