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교민’의 소환과 귀환

[이경우의 언파만파] ‘교민’의 소환과 귀환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2-02 22:18
수정 2020-02-03 0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디아스포라’는 그리스어로 단지 ‘흩어짐’이었다. 세계로 흩어진 유대인을 가리키게 되면서 힘겹고 측은함을 지닌 말이 됐다.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며 사는 삶은 향수에 하루하루 고단함이 더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디아스포라는 흩어져 떠돌며 살고 있는 집단이나 현상을 뜻하는 말로 확장돼 왔다.

최근 더 듣고 보게 되는 ‘교민’(僑民)에도 ‘흩어진’, ‘떠도는’이란 디아스포라 흔적이 있다. 그리고 유쾌하지 않은 느낌이 있다. 사전적으로야 ‘외국에 사는 자기 나라의 국민’이지만, 이런 의미가 바닥에 깔려 있다. ‘교민’이란 낱말 자체에서는 흐릿해졌을지라도 ‘교’는 본래 ‘더부살이’, ‘임시 거처’, ‘타향살이하다’, ‘잠시 머물다’는 뜻을 가진 말이다. 그래서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에 머물며 살게 된 이들은 ‘재일교포’가 됐고, 미국으로 건너간 이들은 ‘재미교포’가 됐다. 다른 나라에 사는 동포, 그러니까 같은 민족이란 뜻으로 ‘교포’라고 한 것이다. 남의 나라에서 더부살이 한다는 뜻을 거리낌없이 보였다.

1990년대 중반 미국 한인 사회에서는 ‘교포’ 대신 ‘동포’나 ‘한인’을 쓰자는 캠페인이 벌어졌다. ‘교포’라는 말이 긍정적 의미로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호응을 얻어 이후 ‘교포’는 물론 ‘교민’이란 표현도 사라져 갔다고 한다. 미국 사회에서는 ‘한인’을 많이 사용하게 됐고, ‘동포’를 더 쓰게 됐다.

지난해 12월 중국 우한에서 새로운 형태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발생했다. 우한 지역에서 발병했다고 해서 초기에는 ‘우한 폐렴’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라는 용어를 권고했다. 우리 정부도 공식적으로 이렇게 부른다. 언론도 대부분 이를 받아들이고 있다. 병명에 지역 이름을 붙이는 건 지역에 대한 혐오와 차별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의 이러한 원칙은 2015년에 마련됐다.

우한 지역에 거주하던 우리 국민들이 이틀에 걸쳐 들어왔다. 유학생도 있고, 회사 주재원, 기타 사업을 위해 머물던 이들도 있었다. 이들을 뭉뚱그려 우리 대부분은 ‘국민’ 대신 ‘교민’이라고 불렀다. ‘우한 교민’이거나 ‘우한 귀국 교민’이라고 했다. 편하다는 이유로, 관습이라는 이유로 ‘교민’이란 말을 다시 불러왔다. 다른 이름을 붙이는 건 구별이고, 구별은 또 다른 배제가 될 수 있다. 어떤 이는 ‘우한 거주 국민´이라고도 했다. 배려하는 마음과 차별 없는 태도에서 나온 말 같다.

wlee@seoul.co.kr

2020-02-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