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장 오래된 기억/김균미 대기자

[길섶에서] 가장 오래된 기억/김균미 대기자

김균미 기자
입력 2019-08-12 22:42
수정 2019-08-13 0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가 떠올릴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억은 언제인가. 네다섯 살, 아니 대여섯 살 때인가.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유치원에 다니기 ‘훨씬’ 전 시골 외할머니 집에서 지냈던 기억이 난다. 엄마 손을 잡고 기차를 타고 한참을 가 버스로 갈아타고 갔던 할머니 집. 반나절은 족히 더 걸리지 않았었나 싶다.

논과 밭과 야트막한 야산이 어우러졌던 곳. 포도밭과 우물가, 감나무와 홍시, 외양간의 소와 김이 무럭무럭 나던 여물통이 떠오른다. 흙바닥 부엌에서 할머니 옆에 바짝 붙어앉아 아궁이에 불 지피는 걸 구경했던 기억이 어렴풋하다. 칠흑처럼 깜깜했던 시골의 밤도 생각난다. 전깃불이 들어오기 전이라 호롱불과 등잔불을 켜기 전에는 온통 사방이 새까맣다. 한 번은 주위가 너무 깜깜해 숨쉬기 힘들다며 투정 부렸던 기억도 난다.

코흘리개 손녀의 코를 연신 훔쳐 주시던 할머니 손이 그립다. 땀띠 날라, 모기에 물릴라 잠들 때까지 부채질해 주시던 할머니. 발음하기 힘든 손녀 이름과 코끼리를 다르게 부르곤 쑥스럽게 웃으시던 할머니가 가족 곁을 떠난 지 30년도 더 지났다. 엄마와 할머니 이야기를 나누며 오랜만에 3대(代)가 한자리에 모였다. 내 기억 가장 먼 곳에 있는 할머니의 주름진 얼굴이 아직도 또렷하다.

kmkim@seoul.co.kr
2019-08-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