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얼지 않은 화천천/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얼지 않은 화천천/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2-17 17:42
수정 2020-02-18 03: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겨울 화천천은 제대로 얼지 않았다. 30㎝ 안팎의 두께로 얼어야 했는데 예년과 달랐다. 북방 찬바람 대신 훈훈한 날씨만 이어졌다. 미국 연방해양대기국(NOAA)은 올해 1월 지구평균기온이 141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했다. 산천어와 수달이 사는 청정 강원도에서도 깨끗하기로 소문난 화천군은 안절부절못했다. 산천어 축제의 개막이 계속 연기되는 등 큰 어려움을 겪은 탓이다.

널찍한 얼음 벌판에 2만개의 구멍을 뚫은 뒤 그 아래에 80만 마리의 산천어를 풀어놓고 낚시하는 장면은 그 자체로 진풍경이었다. CNN, BCC 등 외신에 소개돼 이른바 ‘세계 4대 겨울축제’라는 명성까지 얻었다. 몇 해 전 아이들을 데리고 간 적이 있다. 재주 없는 아비는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시무룩해하는 아이에게 산천어와 회무침을 사서 먹였다.

올해에는 코로나19가 전 지구적 재앙으로 덮쳤고, 생명의 살상을 즐기는 축제라는 비판까지 더해져 고통은 더 커졌다. 지난 16일 끝난 산천어 축제는 작가 이외수의 “자갈 구워 먹고, 모래 삶아 먹는 방법을 알려 달라”는 실존적 부르짖음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후변화가 불러온 전 지구적 위기 앞에서 내가 옳네, 네가 그르네를 다투는 것은 참으로 부질없다.

youngtan@seoul.co.kr

2020-02-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