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마트의 외국 손님들

[길섶에서] 마트의 외국 손님들

박성원 기자
박성원 기자
입력 2024-12-06 01:04
수정 2024-12-06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얼마 전 주말에 경기도 파주에 갔다가 한 조그마한 농협마트에 들렀다. 상품은 여느 마트와 다를 게 없었지만, 외국인 손님이 유달리 많았다. 동남아, 중앙아시아, 몽골 등 여러 지역 출신으로 보이는 외국인들이 절반쯤 되는 것 같았다. 주민들에 따르면 근처에 소규모 공장과 농장이 많은데, 대부분 그곳에서 일하는 외국인들이라는 것이다.

지난해 한국의 이민자 증가율이 38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위를 기록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2023년 우리나라에 온 ‘이민자’는 8만 7100명으로 2022년(5만 7800명)에 비해 50.9%가 늘었다는 것. ‘이민자’에는 시민권·영주권 등을 얻어 해당 국가에 완전 정착하는 영구이민은 물론 난민, 유학생, 단기취업자까지 포함된다. 정부는 2022년부터 일손이 부족한 농어촌에서 짧게 일하고 귀국할 수 있는 단기비자 등 입국 요건을 완화했다.

게다가 한류의 영향력이 커지고 치안, 의료, 교통이 좋다는 입소문이 가세하면서 이민자는 더 늘어나는 추세란다. 마주치는 이민자들 모두 건강히 돈 많이 버는 즐거운 ‘코리안드림’을 이루었으면 좋겠다.

박성원 논설위원
2024-12-06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