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섬초처럼, 기적처럼

[길섶에서] 섬초처럼, 기적처럼

황수정 기자
입력 2025-02-11 23:51
수정 2025-02-12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겨울의 제맛은 뭐니 뭐니 해도 칼바람이다. 겨우 삼십육도쯤의 체온으로 혹한을 무사히 건너고 있다는 것. 이만하면 기적이지, 가만히 덧창을 여민다.

내게 이 계절의 묘미는 밥상 위에 있다. 엄동에 푸른빛으로 버티고 있는 기적들을 쓱쓱 비벼 먹는다. 비금도 섬초, 남해초, 포항초. 겨울 시금치들은 어째서 제 살았던 동네의 이름까지 온몸으로 품었을까. 바닷가 성긴 볕을 어떻게 움켜 삼켰길래 뿌리 끝까지 속속들이 달큰할까. 섬초를 다듬고 있으면 한 번 가본 적 없는 비금도가 궁금해서 안달이 난다. 비금도는 햇볕이 달겠지. 봄이 오면 비금도에 가야지.

해풍에 맞서지 않고 그저 품어버려서 섬초는 구석구석 단물. 갯바람에 덤비지 않고 차라리 삼켜버려서 새파란 세발나물은 마디마디 흥건한 갯내음. 뜨건 물에 살짝 스쳐도 해삼, 멍게 냄새를 풀어낸다. 제 앉았던 자리에서 먼 바다의 무늬들까지 쓸어안았다.

덤비지 않고 버티는 삶은 섬초 뿌리 같아질까. 그렇게 달큰해질 수 있다면, 어디 한번 섬초처럼. 그렇게 넉넉해질 수 있다면, 나도 한번 세발나물처럼.
2025-02-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