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대화 금지’ 카페

[길섶에서] ‘대화 금지’ 카페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5-02-18 00:03
수정 2025-02-18 0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주말이면 종종 집 앞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책을 읽거나 밀린 업무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곤 한다. 편안한 음악, 적당한 백색소음이 의외로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남들도 비슷하게 느껴서인지 나 말고도 1인 고객이 꽤 많다.

문제는 바로 옆 테이블에 두 명 이상이 앉아서 대화할 때다. 신경 쓰지 않으려 해도 어쩔 수 없이 집중력이 흐트러진다. 그들을 탓할 마음은 전혀 없다. 원래 카페란 사람들이 커피나 차를 마시면서 대화를 나누는 곳 아닌가. 탓해야 할 건 그날 나의 자리운일 뿐이다.

얼마 전 동네에 대화 금지 카페가 있다는 정보를 알게 됐다. 지난 주말 프랜차이즈 카페 대신 찾아간 이곳에선 클래식 음악 소리와 찻잔 부딪치는 소리, 기침 소리를 제외하곤 사람 목소리를 거의 들을 수 없었다. 음료를 주문할 때도 옆 사람에게 들리지 않을 정도로 소곤소곤 얘기해야 했다. 처음엔 어색했던 침묵의 장소가 어느 순간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는 힐링의 공간으로 다가왔다. 우리 삶의 일부분이 된 카페. 그 진화가 낯설면서도 흥미롭다.
2025-02-18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