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역사 속 을사년

[씨줄날줄] 역사 속 을사년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5-01-01 00:03
수정 2025-01-01 0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5년은 을사년 뱀띠 해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뱀띠 해에 태어난 사람을 총명하다고 여겼다. 뱀이 지혜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옛날이야기는 대부분 뱀을 사악하거나 두려운 존재로 묘사한다. 우리 역사를 봐도 뱀띠 해에는 이런 상반된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1425년(세종 7)에는 주자소에서 찍어 낸 ‘장자’(莊子)를 문신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조선은 주자소를 설치한 1403년(태종 3) 금속활자인 계미자를 만들었다. 1420년에는 경자자, 1434년에는 갑인자를 주조한다. 구텐베르크에 앞서는 것은 ‘직지’만이 아니다.

명종 즉위년인 1545년 을사사화가 일어났다.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외척이 개입하면서 정미사화까지 피비린내 나는 정치 투쟁이 이어졌다. 1605년(선조 38)에는 임진·정유 양난(兩亂) 극복에 공이 있는 선무원종공신 9060명, 호성원종공신 2475명, 청난원종공신 995명을 봉했다. 사명대사 유정은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인 포로 3000명 남짓을 풀려나게 했다.

1665년(현종 6) 1월 6일에는 89일 동안 머물렀던 혜성이 비로소 사라졌다. 대혜성(great comet)이었다. 혜성은 묵은 폐단을 없애고 새로운 정사를 펴게 하는 상징적 존재였다. 임금은 식음을 전폐하고 잘못된 결정을 번복했다. 외세의 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한 1845년(헌종 11년) 마카오에 유학한 김대건이 상하이에서 페레올 주교의 집전 아래 우리나라 최초의 가톨릭 신부가 됐다. 그는 이듬해 불과 25세의 나이로 처형됐다.

1905년(고종 광무 9)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일본이 한국에 을사늑약을 강제해 사실상 식민지로 만든 해다. 1965년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광복 및 패전 20년 만에 국교를 정상화한다. 2023년 한국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에서 일본을 앞서기 시작했다. 2025년엔 격차가 더 벌어질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추정했다. 하지만 우리가 혼란을 극복하고 하루라도 빨리 국가 기능을 정상화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전제다.
2025-01-0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