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노란 조끼 8만 4000명 운집… 경찰 고무탄 논란

성난 노란 조끼 8만 4000명 운집… 경찰 고무탄 논란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19-01-20 14:31
수정 2019-01-20 14: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란 조끼를 입은 시민이 19일(현지시간) 불길 앞에서 반정부 집회 ‘노란 조끼’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2019.1.20. AFP 연합뉴스
노란 조끼를 입은 시민이 19일(현지시간) 불길 앞에서 반정부 집회 ‘노란 조끼’ 시위에 참여하고 있다. 2019.1.20.
AFP 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노란 조끼’로 대변되는 저변에 깔린 국민들의 분노를 대화로 풀자며 ‘사회적 대토론’을 시작했으나, 국민들의 화는 식을 줄 모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프랑스 전역에서 열린 ‘노란 조끼’ 10차 집회에는 정부 추산 8만 4000명의 시민이 몰렸다고 AFP통신 등이 전했다. 지난주 9차 집회와 같은 규모다. 파리에는 9차 집회보다 1000여명 적은 7000명이 모였다.

시위대는 ‘마크롱(대통령)은 사임하라’, ‘파리 시민들이여 봉기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전반적으로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 집회가 진행됐으나, 복면을 쓴 일부 극렬 시위대는 폭죽을 터뜨리거나 병·돌 등을 경찰에 던지며 충돌했다. 경찰은 최루가스· 물대포 등으로 맞섰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15일 시위 국면을 타개하려고 2개월의 일정으로 사회적 대토론을 시작했다. 그는 그러나 부유세 폐지를 토론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핵심 개혁 의제를 고수할 뜻을 밝혀 반발을 샀다.

이런 가운데 현지 경찰이 집회 진압 과정에서 고무탄을 과도하게 사용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AFP는 지난 18일 노란 조끼 9차 집회에 참여했다가 경찰이 쏜 고무탄에 눈을 맞아 한쪽 눈의 시력을 잃은 사연을 소개했다.

현지 시민단체 디스암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7일 ‘노란 조끼’ 1차 집회 이후 지금까지 경찰의 고무탄에 맞아 중상을 입은 시민은 98명이 이른다. 이 가운데 15명은 실명했다. 현지 일간 리베라시옹은 경찰의 폭력적인 진압으로 ‘노란 조끼’ 77명이 머리를 심하게 다쳐 뇌진탕 등 증세를 호소했다고 전했다.

고무탄은 경찰 규정상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 표적에서 최소 10m 이상의 거리를 두고 목 아랫부분에 쏴야 한다. 그러나 이 규정은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