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믿지 마세요” 영어로 확산 중인 ‘궤변’…이 주장이 무서운 이유

“한국 믿지 마세요” 영어로 확산 중인 ‘궤변’…이 주장이 무서운 이유

윤예림 기자
입력 2025-02-19 11:00
수정 2025-02-19 1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국은 도둑국’이라고 주장한 샤오훙수 게시물. 서경덕 교수 SNS 캡처
‘한국은 도둑국’이라고 주장한 샤오훙수 게시물. 서경덕 교수 SNS 캡처


최근 중국판 인스타그램 ‘샤오훙수’(영문명 레드노트·Rednote)에 “한국인들이 중국 문화를 훔쳐 가고 있다”는 궤변이 난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플랫폼은 ‘틱톡 난민’을 자처하며 몰려간 미국인들도 사용하고 있어 잘못된 정보 확산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9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최근 중국, 미국에 거주하는 누리꾼의 제보를 받고 샤오훙수를 살펴본 결과 중국인들이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었다”고 밝혔다.

서 교수에 따르면 일부 중국 누리꾼들은 ‘한국은 도둑국’, ‘한국을 믿지 말라’, ‘김치의 원조는 중국’ 등의 글과 영상을 퍼뜨리고 있다.

서 교수는 “꽤 심각한 상황”이라며 “샤오훙수는 지금까지 중국 내에서 주로 이용됐고 사용자도 대부분이 중국인이었지만, 미국 누리꾼이 대거 갈아타면서 자칫 이러한 억측에 세뇌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 문화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다 보니 중국 누리꾼의 심한 열등감에서 비롯한 행위라 볼 수 있다”며 “이처럼 삐뚤어진 중화사상은 중국을 고립국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틱톡이 수집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우려해 바이트댄스가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안이 처리된 바 있다.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가 금지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미국인들은 대안으로 샤오훙수로 몰려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