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쓰리 데이즈’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쓰리 데이즈’

입력 2010-12-21 00:00
수정 2010-12-21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아내를 탈옥시켜라… 허락된 시간은 3일뿐!

프랑스영화를 리메이크한 두편의 미국영화가 나란히 개봉한다. 원작의 낮은 인지도에 비해 할리우드에서 투입한 인물들의 화려한 면면이 놀랍다.

‘투어리스트’에는 ‘타인의 삶’을 연출한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네르스마르크와 미국을 대표하는 두 배우, 조니 뎁과 앤절리나 졸리가 참여해 광채를 더했다.

이미지 확대


유명세로 치면 ‘쓰리 데이즈’도 밀리지 않는다. 아카데미상에 빛나는 감독 폴 해기스와 배우 러셀 크로가 만났으니 영화의 무게감이 남다르다. 프랑스판을 보지 않아 직접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각색과 각본에 뛰어난 솜씨를 발휘해온 해기스가 이번에도 감동적인 드라마 한편을 내놓았다.

피츠버그의 존과 라라 부부는 아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아침, 경찰이 들이닥쳐 아내를 살인 혐의로 체포한다. 라라가 직장의 상관을 살해했다는 것인데, 모든 상황이 그녀에게 불리한 쪽으로 흘러간다. 살해 동기, 살해 도구에 남아 있는 지문, 옷에 묻은 핏자국 등이 모두 그녀를 범인으로 지목한다. 법이 아내의 편에 서 있지 않음을 알게 된 존은 아내를 탈옥시키기로 결심한다. 3년의 세월이 흘러 존의 계획과 준비가 무르익을 찰나, 라라는 존에게 다른 교도소로 이송될 거라고 알려준다. 이제 그에게 부여된 시간은 3일밖에 없다.

자유에 대한 갈망을 역사 속에서 증명해온 프랑스이니만큼 탈옥과 관련된 프랑스영화가 유달리 눈에 많이 띈다. 보통 탈옥영화의 고전으로 일컬어지는 ‘빠삐용’이 세상에 나오기 수십년 전에 ‘위대한 환영’, ‘사형수 탈옥하다’, ‘구멍’ 같은 걸작을 선보인 곳이 바로 프랑스다. ‘쓰리 데이즈’의 원작인 ‘그녀를 위해’는 어떤 작품일까. 내용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대 ‘그녀를 위해’는 자유를 향한 굳은 의지를 담은 고전적인 프랑스영화라기보다 ‘샹떼’와 같은 유로 보는 게 나을 듯하다.

‘쓰리 데이즈’의 원 바탕은, 이성이 아니라 미친 열정 때문에 탈옥에 목숨을 거는 남자의 이야기다. 그러나 해기스는 광적인 남자가 탈법을 일삼는 이야기가 미국인의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그래서 그는 가족에 방점을 찍기로 한다. 라라가 정말로 죄를 저질렀는지 혹은 그 반대인지는 존에게 중요하지 않다. 존이 라라를 무조건 믿는 배경에는 그녀가 그의 아내이자 아이의 엄마라는 사실이 깔려 있으며, 남편은 아내를 감옥에서 꺼내 자신의 가족을 원래대로 복원하기를 원한다.

존의 아버지가 아들의 계획이 무모한 줄 알면서도 묵묵히 지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영화의 마지막 장면이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쓰리 데이즈’의 진짜 바탕은, 야만의 세계에서 가족을 수호하려는 가장의 열렬한 책임감이다.

‘쓰리 데이즈’에 대한 미국 내 평단과 관객의 반응은 그리 좋지 않다. 클라이맥스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지루하다는 등의 평가가 보인다. 탈옥의 흥미진진한 광경을 기대한 관객은 너무 세세한 3년 동안의 기록이 쓸데없어 보일지도 모른다.

다시 말하거니와 ‘쓰리 데이즈’는 가족을 위해 모든 걸 희생한 남자의 이야기다. 한편에선 직장인으로 일하고, 돈을 마련하고, 아들을 보살폈고, 다른 한편에선 어마어마한 일을 저질러야 했던 남자의 애틋한 사연이 여기 있다. 해기스는 존이라는 존재를 빌려, 자칫 허황된 이야기에 그쳤을 ‘쓰리 데이즈’에 호소력을 부여했다.

영화평론가
2010-12-21 1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