門10여개… 열리는 게 단 한 개도 없다 왜?
연극 ‘있.었.다’(서재형 연출, 극단 물리 제작)의 포인트는 세 음절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마침표(.)다. ‘있었다’라는 과거형 표현은 존재를 뒤늦게 발견한다는, 일종의 놀라움일 텐데 끝에 느낌표를 붙이는 게 아니라 중간에 마침표를 끼워넣었다.무대에는 10여개의 문이 답답할 정도로 빼곡하니 붙어 있다. 그 문들 뒤에선 “엄마, 아빠, 날 찾아줘.”라고 구슬프게 울어대는 아이의 목소리가 울려퍼진다. 문들이 그렇게 많건만 그 목소리에 화답하듯 열리는 문은 단 한 개도 없다. 수많은 문이 달린 공간임에도 문으로 인해 열린 공간이 아니라 문으로 인해 닫힌 공간이라는 아이러니다. 그 단절된 공간에서 유일하게 자주 여닫히는 문은 딱 하나. 이 문마저도 사람들을 불러들이는 게 아니라 몰아내는데 쓰인다. 외부와 소통하는데 쓰일 수 있는 많은 문들을 스스로 닫아걸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게 한다.
1시간 남짓한 짧은 러닝타임이 보여주듯 극 자체는 직선적이다. 십수년째 실종사건 접수 업무를 맡고 있는 경찰관 인배(이갑선). 그날도 어김없이 사건이 밀려든다. 딸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고 호소하는 아빠 영호(권겸민), 남편과 아기가 소리소문없이 사라졌다는 부인 은주(서영화). 이들은 숨가쁘게 실종의 놀라움을 읊어댄다. 대개 이런 얘기들은 가족들에 대한 자신의 통큰 사랑을 호소하는 동작이기도 하다.
그러나 닳고 닳은 형사 인배에게 그들의 구구절절한 사연은 단지 형형색색 포스트잇이 붙은 서류철로 정리될 뿐이다. 인배의 행동은 집에서도 마찬가지. 인배는 아들과의 대화를 간절히 원하는 노모를 언제나 저쪽 구석으로 밀쳐두기만 한다. 극은 막판에 반전 카드를 꺼내든다. 알고 봤더니 영호는 딸이, 은주는 남편과 아기가 사라지기를 애타게 바라고 있었다. 정작 실종당한 것은 그들이 아니라 영호와 은주 그 자신들이었던 것. 그렇다면 인배는?
무대는 인배의 책상과 상대의 책상을 강하게 분리해 뒀다. 좀 밋밋하다 싶으면 바람에 흩날리는 존재의 가벼움이 영상으로 어김없이 파고든다. 몇몇 장면에서는 귀기(鬼氣)마저 느껴진다. “당신은 남들에게 있어서 존재하고 있는 사람인가.”, “당신도 닫힌 문 앞에서 고통스럽게 ‘나 좀 찾아줘’라고 울부짖는 아이인 것은 아닌가.”라고 고통스럽게 되묻는 정복근 작가의 대본이 좋다. 새해 1월 2일까지 서울 대학로 게릴라극장. 1만 5000~2만 5000원. (02)764-7462.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2-27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