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 어디까지 봄?… 전시장에 똬리 튼 푸른 희망 에너지

뱀, 어디까지 봄?… 전시장에 똬리 튼 푸른 희망 에너지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5-01-01 00:00
수정 2025-01-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5년 을사년에는 각종 전시를 통해 다양한 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만사형통’(萬巳亨通)에 전시된 ‘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가운데 여섯 번째 뱀신’.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2025년 을사년에는 각종 전시를 통해 다양한 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만사형통’(萬巳亨通)에 전시된 ‘땅을 지키는 열두 수호신 가운데 여섯 번째 뱀신’.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을사년을 맞아 뱀과 관련한 다채로운 전시도 열린다.

●국립민속박물관, 각국 뱀 관련 유물전

국립민속박물관은 오는 3월 3일까지 특별전 ‘만사형통’(萬巳亨通)을 연다. 이 전시는 뱀에 대한 인간의 복합적인 인식이 담긴 전 세계의 민속문화를 소개한다. 한국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아프리카 바가족의 신줏단지, 스리랑카 지역의 뱀 조각 가면, 멕시코 아스테카 문명의 캘린더 스톤 등 각국의 뱀 관련 민속 유물을 만날 수 있다.

‘1000개의 얼굴’을 가진 채 문화 상징으로 인간과 함께 살아온 뱀과 관련된 각종 유물들이 무척 흥미롭다. 십이지신 중 하나인 뱀의 모습이 담긴 그림, 우표, 공예품에서는 지혜를 상징했던 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어리석은 인간에게 경고하거나 벌을 주는 존재로서의 뱀도 똬리를 틀고 있다. ‘시왕도’(十王圖), ‘게발도’(揭鉢圖) 같은 그림에서는 뱀에게 심판받는 인간의 모습이 보인다. 향으로 뱀을 쫓았던 옛 여성들의 모습이 담긴 ‘향갑 노리개’, 불을 붙여 뱀을 쫓았던 ‘미심’ 등의 생활용품에서는 선조의 지혜도 엿볼 수 있다.

인간은 땅속과 땅 위를 오가는 뱀을 보며 이승과 저승의 서로 다른 두 세상을 오가는 신비로운 존재라 생각했다. 그래서인지 샤먼이 의례에 사용했던 숟가락, 북 손잡이, 지팡이 등에선 조각된 뱀을 찾을 수 있다. 한편으로 허물을 벗으며 성장하고, 한 번에 여러 개의 알을 낳는 뱀은 생명력과 풍요로움을 상징했다. 풍요 기원 의례에서 사용했던 가면, 공예품 등에서 뱀을 찾을 수 있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2025년 을사년에는 각종 전시를 통해 다양한 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한국전통문화대 기획전 ‘청사진’(靑巳進)에 전시된 하현주의 ‘청사초롱’. 한국전통문화대 제공
2025년 을사년에는 각종 전시를 통해 다양한 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한국전통문화대 기획전 ‘청사진’(靑巳進)에 전시된 하현주의 ‘청사초롱’.
한국전통문화대 제공


●전통 회화로 만나는 뱀의 ‘청사진’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오는 6일까지 서울 종로구 갤러리 라메르에서 학생 41명과 교수진이 전통 기법과 재료를 바탕으로 창조한 전통 회화를 선보인 기획전시 ‘청사진’(靑巳進)을 연다.

전통 놀이인 윷놀이를 푸른 뱀을 감은 현무와 전통 문양인 단청으로 장식한 이수영의 ‘보드게임’, 벚나무를 휘감고 있는 푸른 뱀과 나무의 조합으로 번영과 재생의 에너지를 보여주는 하현주의 ‘청사초롱’, 서산 개심사 영산회괘불탱을 모사한 ‘영산회괘불도’, 탑을 돌던 뱀이 비구니에게 들켜 인간이 되지 못하자, 미안함을 느낀 비구니가 뱀을 돌보며 일생을 함께했다는 천년고찰 비암사의 설화를 재구성한 최지원의 ‘비암’ 등 50여점이 소개된다.

이미지 확대
2025년 을사년에는 각종 전시를 통해 다양한 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한국만화박물관 신년 카툰전 ‘청사(靑蛇), 초롱초롱’에 전시된 김동화의 ‘별, 꽃, 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제공
2025년 을사년에는 각종 전시를 통해 다양한 뱀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한국만화박물관 신년 카툰전 ‘청사(靑蛇), 초롱초롱’에 전시된 김동화의 ‘별, 꽃, 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제공


●8개국 63명 만화가들의 푸른뱀 카툰전

경기 부천 한국만화박물관은 3월 2일까지 신년 카툰전 ‘청사(靑蛇), 초롱초롱’을 연다. 8개국 63명의 만화가가 참여해 생명력과 지혜, 변화를 상징하는 푸른 뱀을 주제로 희망찬 에너지를 관람객에게 전달한다. 참여 작가들은 뱀의 매끄러운 곡선과 예리한 시선, 푸른 빛에서 느껴지는 차분하면서도 강렬한 에너지를 작품에 담았다. 이미정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박물관팀장은 “다양한 시선으로 해석된 푸른 뱀 이야기를 통해 힘찬 기운을 느끼고 을사년 새해에는 초롱초롱 빛나는 일만 가득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2025-01-0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