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관가야 왕궁터에서 집모양토기·말발걸이 나왔다

금관가야 왕궁터에서 집모양토기·말발걸이 나왔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9-01-09 18:10
수정 2019-01-10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남 김해 봉황동 유적 건물터서 출토
4~5세기 추정… “고대가옥 연구 가치”
이미지 확대
집모양토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집모양토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이미지 확대
말발걸이.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말발걸이.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제공
금관가야 왕궁터로 추정되는 경남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가 출토됐다.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5년부터 발굴 중인 김해 봉황동 유적 내 4세기 말∼5세기 초 건물터 주변에서 집모양토기를 출토했다고 9일 밝혔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야계 집모양토기는 대부분 고상식(高床式·마루를 높게 쌓은 형태)인데, 이번에 발견된 토기는 지면에 밀착해 건축물을 세운 지면식 구조다.

이 토기는 정면은 평평하지만 뒤쪽 벽체는 반원형인 구조다. 앞쪽은 가운데 부분에 네모꼴의 구멍을 냈고, 아래에는 받침대가 놓여 있다. 옆쪽에는 원형 창을 뚫었다. 지붕 앞쪽은 삿갓 모양의 맞배지붕이지만 뒤쪽은 둥그스름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문화재청 측은 “‘삼국지’ 동이전은 삼한의 가옥을 ‘(…) 거처는 초가집과 흙방으로 짓는데, 모양이 무덤과 같으며, 그 문이 위에 있다’라고 표현하고 있다”며 “이번에 출토된 집모양토기는 이 문헌 사료와 유사해 고대 가옥의 구조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밝혔다.

더불어 김해 봉황동 유적 가운데 불을 사용한 흔적이 남은 자취인 소성유구(燒成遺構) 주변에서 철로 만든 말발걸이가 출토됐다. 이 유물 역시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가 특수 촬영한 결과 말발걸이 고리 부분에서 접합부가 발견됐다. 고리를 둥근 형태로 연결하고, 연결 부분에 각각 구멍을 뚫어 철심을 박는 방식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측은 “일반적으로 삼국시대 말발걸이는 발을 거는 고리 부분에 접합부가 없다”면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말발걸이 제작 방식으로, 마구(馬具) 제작 기술과 변천 과정을 알려 주는 유물”이라고 설명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1-1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