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미더운 문학적 태도 섬세해[서울신문 2025 신춘문예 - 소설 심사평]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미더운 문학적 태도 섬세해[서울신문 2025 신춘문예 - 소설 심사평]

입력 2025-01-01 00:03
수정 2025-01-01 00: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찬제·김이설·구병모·백가흠·인아영

이미지 확대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 심사위원인 구병모(왼쪽부터)·김이설 소설가, 인아영 문학평론가, 백가흠 소설가, 우찬제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응모작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 심사위원인 구병모(왼쪽부터)·김이설 소설가, 인아영 문학평론가, 백가흠 소설가, 우찬제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응모작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올해 소설 부문에는 예년보다 185편이 증가한 680편의 소설이 응모됐다. 최근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과 더불어 한층 뜨거워진 문학을 향한 열기를 느낄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작품 수준이 고르게 높다는 데 모든 심사위원이 동의하는 가운데 주요하게 논의된 소설은 다음과 같다.

‘전연지대의 토끼’는 설산에서 길을 잃은 남한의 남성 군인이 탈북자 여성을 만나는 이야기다. 어디로 가야 할지 알 수 없는 막막한 상황에서 여성이 느닷없이 옷을 벗어 ‘나’를 안아 준 이후 이어지는 섹슈얼한 관계가 후반부를 채운다. 생생한 묘사와 소설적 재미가 돋보인다는 점에서 몇몇 심사위원들의 강력한 지지가 있었으나 반대도 팽팽해 토론이 길고 지난했다. 남북한 관계를 다루면서도 역사 인식이 단순하고 추상적이며 이를 구원자 여성과의 성관계에 비유하는 낯익은 도식의 반복이 새롭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미분처럼’은 어느 바리스타의 행사에서 헤어진 연인이 우연히 재회하는 하루를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과거 연인에 대한 복잡한 심정이 커피 원두를 추출하는 섬세한 과정과 커피의 쓰고 떫은 맛에 대한 비유로 이어지는 흐름이 미려하고 정갈했다. 언뜻 사소한 마음을 그리고 있는 듯하지만 그 안에서 인간 본연의 결핍과 이기심, 인간관계의 위태로운 불균형을 통찰하는 진득한 시선이 미더웠다. 하지만 차분한 문장과 유려한 완성도에 비해 다소 밋밋하다는 인상도 있어 이미 가지고 있는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더 강하게 밀고 나가는 문학적인 야심과 패기를 기대하고 싶다.

‘폴리 사운드’는 남들에게는 잘 들리지 않는 소음을 듣는 어느 사운드 디자이너의 이야기다. 자신의 이야기를 하려는 사람은 어느 때보다도 많지만 타인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으려고 하는 사람은 드문 시대에 ‘듣는 일’의 정치적인 의미를 떠올리게 한다. 세상의 기미를 어떻게든 예민하게 들으려는 이 주인공에게 사운드 디자인은 단지 직업적으로 빈 공간에 정교한 소리를 채워 넣는 일에 그치지 않는다. 무엇보다 머뭇거리면서 떠나는 사람의 마음을 직접적으로 들추어내고 확인하는 방식이 아니라 한 발짝 뒤에서 이를 섬세하게 감지하고 이해하려는 방식에 이 작가가 인간과 세상을 바라보는 미더운 문학적 태도가 깃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당선자께 진심 어린 축하를, 그리고 소중한 작품을 보내 주신 모든 응모자들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

2025-01-01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