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찬하


고찬하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 당선자
글쓰기는 홀로 단단한 성을 쌓는 일 같아서 좋습니다. 좋은 문장을 지어낸 것 같아도, 다시 보면 어딘가 어설퍼서 허물고 다시 짓습니다. 그 일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반복합니다. 썼다 지웠다 썼다 지웠다를 몇 차례 하다 보면 견고해 보이는 무언가가 완성되어 있습니다. 성은 외부로부터 삶을 지키기 위해, 삶을 버티기 위해 존재합니다. 저는 그동안 글쓰기를 삶의 성채로 삼았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애써 지어 놓은 모든 것이 속절없이 무너져도 처음부터 다시 쌓을 수 있는 삶의 지혜를 글쓰기를 통해 배웠습니다.
희곡 ‘돼지꿈’은 온갖 악재로 삶이 무너져 가는 시기에 썼던 작품입니다. 매일이 전쟁 같은 와중에 쓰고 지우기를 반복했습니다. 당선 소식을 듣고 얼떨떨했습니다. 필요한 서류를 구비하여 방문해 달라는 복지기관의 전화를 받은 줄 알았습니다. 불안한 땅 위에 서 있는 것만 같은 이 작품이, 이제는 삶을 버틸 수 있는 하나의 견고한 성이 되었습니다. 제게 크나큰 버팀목을 주신 서울신문과 심사위원분들에게 감사합니다. 더 겸손한 마음으로 희곡을 쓰겠습니다.
척박한 삶 속에서 글쓰기의 재미를 알려 주신 서민준 선생님, 서사의 원형들을 가르쳐 주신 조광화 선생님, 희곡의 면밀한 구조를 연습시켜 주신 성기웅 선생님, 주제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만들어 주신 박해성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혹독한 생활 전선의 앞에서도 용기 내어 글을 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족들에게 잘 버텨 주어서, 잘 견뎌 주어서 고맙다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가난이 우리에게 모든 걸 앗아가려 해도, 삶의 주인을 바꾸지는 못할 것입니다.
▲1994년 광주 출생 ▲서울예술대 극작과 졸업
2025-01-01 3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