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경·송수연

도준석 전문기자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동화 부문 심사위원인 송수연(왼쪽) 아동청소년문학평론가와 송미경 동화작가가 응모작을 살펴보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도준석 전문기자
이번 응모작들은 대체로 작품의 수준이 고르고 숙련된 작품이 많아서 본심에 오를 작품을 고르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
본심에 올린 여덟 편의 작품은 분위기와 완성도에서 유사점이 많았다. 자극적인 소재와 표현이 없고 어린이의 일상을 다양한 시각에서 다양한 기법과 장르로 고르게 표현했으며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높았다. 그중 논의를 거쳐 총 네 편의 작품을 최종심에 올렸다.
‘비온 뒤 맑음’은 장르적 성격을 내포한 작품으로 비 온 뒤에 만나게 된 친구와의 과정을 짜임새 있고 잔잔하게 잘 그려냈으나 서사의 음영이 다소 흐릿했다.
‘내가 뭘 잃어버린 걸까?’는 주인공이 어릴 때 살던 곳에서 우연히 친구들을 만나는 과정을 몽환적으로 잘 그려냈다. 다만 잊었던 관계를 현실의 관계로 붙잡은 결말과 우연을 이끄는 과정의 개연성이 다소 아쉬웠다.
‘비상금이 사라졌다’는 책 사이에 숨겨 두었던 비상금을 찾기 위해 주변의 친구들을 의심하며 자신의 기억을 더듬어 보는 과정을 흥미롭게 표현했다. 원고를 퇴고하는 과정에서 인물 간의 대사에 사소한 오류가 있었다.
이 세 편은 완성도가 높았으나 아쉬운 점도 있어서 당선작으로 ‘정전의 밤’을 선정했다.
‘정전의 밤’은 아파트가 정전되고 친구의 어린 동생을 돌봐주기 위해 어두운 아파트 계단을 지나 옆 동에 사는 친구 집에 도착하는 이야기다. 이 동화는 정전으로 사물을 볼 수 없게 된 순간 비로소 발견하게 되는 것들을 다루고 있는데 소재를 자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잔잔하게 풀어가면서도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긴장감을 유지하고 극적 효과를 높였다. 이웃과의 만남과 대화를 통해 아이가 평상시에 삶으로 깔아 놓은 길을 아빠가 초대되어 함께 가는 여정을 자연스럽고 잔잔하게 표현했다.
이 동화는 우리가 회복해야 할 것들, 우리가 들여다보고 빛을 비춰야 할 자리를 돌아보게 한다. 어린이의 삶과 시선을 통해야만 볼 수 있는 것, 작은 빛으로만 볼 수 있는 것, 어둠을 관통해야 만날 수 있는 진실된 온기가 감동을 준다.
응모해주신 모든 분들에게 격려와 감사를, 당선자에게 축하를 보낸다.
2025-01-01 4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