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호·유성호

도준석 전문기자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 심사위원인 문학평론가 유성호(왼쪽)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와 문학평론가 이광호 문학과지성사 대표가 응모작에 관해 토론하고 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도준석 전문기자
2025 서울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영향 때문인지 예년에 비해 많은 응모작이 접수되었다. 한강 관련 비평이 제법 있었고 다양한 시인, 현상, 경향 등을 저마다의 시선과 필치로 탐구하여 비평적 논의의 수준을 끌어올린 사례들이 많았다. 심사위원들은 특정 이론으로 기울어간 현학적 비평이나 평범한 작가론, 작품론에 그친 비평보다는 자신만의 의제 설정 능력을 바탕으로 작품 분석의 안목을 보여준 평문들을 호의적으로 읽어나갔다. 그 결과, 스스로의 해석 언어에 오랜 정성을 쏟은 신은조씨의 평론 ‘포르노그래픽 다오라마 - 김언희론’을 당선작으로 선정하였다.
이 글은 한 시인의 시 세계를 정치하게 분석한 결과로서, 김언희 시의 독특한 페미니즘적 개성을 예리하게 파악함으로써 비평의 개성적 차원을 보여주었다. 시인이 여성의 몸을 통해 주류적 폭력에 저항하는 과정을 규명한 의미 있는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김언희 시의 저류에 흐르는 미학적 속성을 제대로 읽어낸 탁월한 비평이라고 생각된다. 필력을 더욱 가다듬어 창의적 해석의 역량을 크게 가다듬어가기를 기대해 마지않는다. 함께 경쟁한 ‘비-인간 전환 시대의 불규칙이라는 타자’는 두 시인을 통해 최근 한국 시의 담론적 가능성을 읽어내는 역량을 보여주었다. 최근 강력하게 떠오르는 담론들에 대한 서술이 많아 글에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따랐다. ‘포스트 로맨스: 변화의 시대, 사랑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는 문제 소설들을 통해 사랑의 새로운 감수성을 논의해본 의욕적인 글이다. 다만 텍스트들을 최근 떠오르는 담론에 귀속시키는 흐름이 강하여 작품 개개에 대한 해명이 더 드러났어야 한다는 아쉬움이 지적되었다.
이번에 당선하지는 못했으나 문제의식을 두루 갖춘 사례들이 꽤 많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다음 기회에 더 빛나는 성과를 얻기를 바라면서, 투고자 여러분의 정진을 당부드린다.
2025-01-01 4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