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긋한 30년대 경성 말투 살려보고파”

“나긋한 30년대 경성 말투 살려보고파”

입력 2010-12-10 00:00
수정 2010-12-10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일’ 연출 성기웅 씨

어슬렁거리며 시내를 걷는 이들. 그러니까 철학자 발터 베냐민이나 시인 샤를 보들레르가 말한 ‘만보자’(漫步者)다. 연극 ‘소설가 구보씨의 1일’은 바로 이 만보자에 대한 얘기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됐던 소설가 구보 박태원(1909~86)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삼았다. 연극은 소설 내용 그대로, 소설 쓸거리를 찾는다는 핑계로 경성 시내 일대를 구경하러다니는 구보의 얘기다.

이미지 확대
성기웅 연출가
성기웅 연출가
식민치하 어두운 민족 현실을 강조하는 리얼리즘 입장에서 보자면 만보자는 일종의 균열이다. 무장독립투쟁을 벌여도 시원찮을 판에 느긋하게 돌아다니고 있으니 말이다. 이 만보자를 구원한 것은 기계문명이 만든 새로운 풍경을 흔들리는 눈빛에 담아 전해준 모더니즘이다. 그래서 연극은 인상파 그림을 닮았다.

이미지 확대
1930년대 경성의 살롱문화 중심지였던 ‘낙랑파라’에서 모더니즘 시인 김기림(왼쪽)과 소설가 구보가 문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연극의 한 장면.
1930년대 경성의 살롱문화 중심지였던 ‘낙랑파라’에서 모더니즘 시인 김기림(왼쪽)과 소설가 구보가 문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연극의 한 장면.
1930년대 경성을 어슬렁대며 다니는 구보는 찬찬히 근대 문명에 젖어들고 있는 조선의 풍경을 읊어준다. 그 목소리는 한편으로는 묘한 설레임을, 다른 한편으로는 묘한 두려움을 드러낸다. 인상파가 근대 문명의 상징 ‘기차’를 즐겨 그렸듯, 극 중에서 구보는 ‘전차’를 타고 경성을 쏘다닌다.

소설의 무대화니까 소설적인 것을 무대적 상상력으로 갈아 끼울 법한데, 이 작품의 선택은 정반대다. 소설 문장을 있는 그대로, 그것도 1930년대 표기법 그대로 끌어다 쓰는 실험을 시도했다. 대화야 그렇다쳐도 지문까지 그렇게 한다. 가령, 집을 나서는 구보를 두고 어머니가 “대체, 그 애는, 매일, 어딜, 그렇게, 가는, 겐가, 하고 그런 것을 생각하여 본다.”는 대목을 실제 무대에서 대사와 행동으로 고스란히 표현했다. 이를 위해 ‘구보 박태원’이란 1명의 인물을 ‘구보’(오대석)와 ‘박태원’(이윤재) 두 명으로 쪼개 연기하고, 동시에 무대 또한 무대 속 무대 형식으로 이등분된다. 여기다 1930년대 경성 풍경을 일러주는 영상과 음향이 다양하게 펼쳐진다. 지난 6일 성기웅 연출을 만났다.

→영상이 아주 감각적이었다.

-원래는 1930년대 경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쪽으로, 고증적이고 다큐적인 것으로 하려 했다. 그럴 경우 배우의 연기가 가려지고 지나치게 소설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미술팀에서 미술적인 컨셉트로 가야한다는 의견을 내서 거기에 따랐는데 그렇게 하길 잘했다 싶다.

→전봉관 카이스트대 교수의 연구 이후 식민지 조선의 모던함에 대한 얘기들이 한동안 활발했다. 1930년대 경성, 그리고 구보는 어디가 매력적인가.

-그 시대와 인물이 재밌다. 내 생각엔 1980년대까지는 1930년대와 비슷한 구석이 있다. 지금은 달라졌지만. 도시예술가가 탄생하면서 걷고, 커피 마시면서 예술과 인생을 논하는 그런 것들이 비슷하다. 한국 근대의 뿌리랄까, 그런 면에서 1930년대가 흥미롭다. 인물들도 재밌다. 가령, 구보와 이상은 절친한 친구인데 스타일은 다르다. 이상은 자유롭고 천재적이라 부럽긴 한데, 난 그렇게 살 자신은 없다. 반면에 구보는 형식파괴적이고 실험적임에도 현실감각이 있다. 이상이 대중보다 100걸음 앞에 나간다면, 구보는 반걸음 정도만 나간다. 그런 면에서 구보와 친밀감이랄까, 그런 걸 느낀다.

→소설 문장 그대로 옮긴게 신기했다.

-원래 연극하면서 번역문투가 참 힘들었다. 해외 명작을 가져오다보니 장엄한 문어체 말투가 된 건데, 사실 우리가 평소에 그렇게 말 안 하지 않나. 그런 생각이 있던 차에 구보를 만난 거다. 구보는 염상섭과 함께 서울 토박이 작가라 당대 서울말에 능했다. 지금이야 표준어라 딱딱해보이지만, 원래 서울말은 나긋한 리듬감이 있었다. 구보의 그런 면을 살려보고 싶었다. 그리고 일본 유학생 출신이던 구보는 일본어 영향 때문에 ‘콤마’를 많이 썼다. 말에서 일제와 조선이 겹치는 시대상이 고스란히 있지 않나. 그래서 소설 속 말들을 그대로 써보고 싶었다.

→결론은 구보가 열심히 창작하고 결혼한다는 건데, 조금 허망하다.

-나도 실망스러웠다. 당시로서는 모던한, 전위적 작품을 써놓고는 결론은 지나치게 모범생이 되어버렸다. 아까 말한 대로 이상과는 달리 구보에게는 ‘범생이’ 기질이 있는 것이다. 일단 소설 그 자체를 무대화한다는 목표가 있었으니 결말은 그래도 두되, 마지막은 배우가 드라이하게 읽는 방식으로 처리했다. 대신 이상과 구보가 소설의 결말을 두고 논쟁하는 장면을 넣었다.

→이상이 ‘그냥 집에 갔다.’로 소설을 끝내면 고리타분하다고 구보를 타박하는 게 그 때문인가.

-맞다. 결말에 대한 나의 불만을, 나름대로 이상의 장난질을 통해 드러낸 거다.

→구보 말고 또 다루고 싶은 그 시대 인물이 있나.

-김우진도 좋고, 김유정이나 이효석도 좋다. 김유정이나 이효석은 우리에겐 토속적 작가로만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는 굉장히 도시적인 감각을 가진 이들이었다. 그런 면을 부각해보고 싶다. 손기정도 있다.

31일까지 서울 연지동 두산아트센터 스페이스 111. 전석 3만원. (02)708-5001.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사진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2010-12-10 2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