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세종로의 아침] 벌써 1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대만해협, 한반도/윤창수 국제부 차장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3 00:12 세종로의 아침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윤창수 국제부 차장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윤창수 국제부 차장

아무도 일어나리라 예상하지 않았던 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써 발발 1년이 돼 간다. 지난해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일주일이면 끝날 것 같다고 했던 전쟁이 장기전으로 흐르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서방으로부터 최신 탱크와 전투기 등을 지원받아 영토 회복을 꾀하지만 러시아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전쟁 1년을 맞아 대대적인 공격을 준비하고 있다는 전망도 쏟아져 자칫 핵무기 사용으로 치닫지는 않을지 걱정스럽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패트리엇 방공 시스템과 M1 에이브럼스 전차를 지원하기로 하면서 러시아와 미국의 전쟁이 돼 가고 있다. 아나톨리 안토노프 주미 러시아 대사는 “미국의 의도는 러시아에 전략적 패배를 가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우크라이나전이 미국의 대리전임을 분명히 밝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패트리엇 미사일 지원을 약속받으면서, 미 의회에서 했던 연설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윈스턴 처칠을 연상시킨다는 보도도 있었다. 미국을 참전시키려고 배를 타고 대서양을 건넜던 처칠은 결국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우크라이나전이 끝나기도 전에 벌써 대만해협을 다음 전쟁 후보지로 꼽는 전망이 줄을 잇고 있다. 대만해협에 전쟁이 일어난다면 그야말로 세계 최고 강대국인 미국과 중국이 맞붙게 된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난방비 폭탄을 맞은 우리로서는 대만에서 미국과 중국이 맞붙었을 때의 충격파는 가늠하기조차 힘들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은 ‘세계의 첨단공장’이라 불러도 손색없을 정도로 자동차와 휴대전화 생산을 도맡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를 생산하는 중국은 전기차 시대를 맞으면서 자동차 수출도 독일을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섰다. 만약 중국이 무력 도발로 러시아처럼 제재를 받게 된다면 가스와 농작물이 아니라 자동차와 휴대전화 공급이 차질을 빚을 것이다.

대만해협을 두고 여러 전쟁 시나리오가 쏟아졌지만 가장 최근 무력 충돌이 현실화했던 사건은 낸시 펠로시 전 미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이었다. 300만명에 가까운 세계 인구가 인터넷을 통해 펠로시 전 의장이 탄 대만행 비행기의 운항을 지켜본 가운데 중국의 격추 위협에도 무사히 여정은 마무리됐다.

올봄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다시 대만 방문에 나서더라도 중국이 무력시위는 하겠지만, 그 수위는 절반 수준으로 약해질 것이란 전망이 중국에서 나온다. 하원의장의 방문으로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미국이 깨뜨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쟁으로 황폐해진 대만 섬을 공산당이 통치하는 것은 중국을 포함해 아무도 원하지 않는 시나리오일 가능성이 크다. 지금처럼 미국은 언제든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가라앉지 않는 항공모함’으로 대만을 활용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대만해협에 이은 전쟁 후보지는 한반도다. 북한이 군 창건 75주년인 8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81회 생일인 16일 등 줄줄이 기념일이 있는 이번 달에 7차 핵실험을 할 수 있다는 전망이 파다하다. 물론 국가 핵 무력 완성 선언을 한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 않을 가능성도 크다.

전쟁을 겪은 세대들은 하룻밤에 집이 날아가서 가족을 잃고, 담요 한 장으로 겨울을 나는 우크라이나의 참상이 남 일 같지 않다. 전쟁이 그저 시나리오만으로 남기를 바라는 건 세계인들의 공통된 소망이다.

윤창수 국제부 차장
2023-02-03 25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