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 국정 운영 정상화의 발판
‘역사적 소명’ 경쟁하는 무대여야
후보 등록은 어제와 오늘 이틀 동안 이루어진다. 김기현·안철수 의원과 윤상현·조경태 의원, 황교안 전 국무총리 등 유력 후보들이 첫날 등록을 마친 것은 물론이다. 이들은 한결같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과 내년 총선 승리’를 입에 올렸다. 그러면서도 정작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는 사람은 없다. 누구랄 것 없이 당장의 승리를 위한 합종연횡의 정치공학적 손익계산에만 몰두하는 모습이니 딱할 뿐이다.
전당대회 분위기를 주도하는 양대 후보인 김기현·안철수 의원부터 여당 대표 선거의 품격을 찾아볼 수 없는 입씨름만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벌써 적지 않다. 국민이 진정으로 알고 싶은 것은 집권당의 새 대표가 뽑히면 국정이 어떻게 달라지느냐 하는 것 아니겠나. 어떤 후보도 윤 대통령 체제 아래 국가 발전의 방향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는 소리를 듣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갈 길을 제시하지 못하는 지도자를 과연 지도자라 할 수 있느냐는 여론의 지적을 후보들은 뼈저리게 새겨들어야 한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는 오는 5일 후보 자격 기준을 심사하고, 8∼9일 책임당원 여론조사를 거쳐 10일 본경선 진출자를 발표할 것이라고 한다. 지금이라도 선관위는 본경선 진출의 필수 요건으로 ‘미래 비전’을 반드시 명시할 것을 권한다. 그 비전은 당연히 국민의힘이라는 특정 정당에 국한되지 않은 국가 전체의 미래를 고민하는 것이어야 한다. 전당대회 선거권은 3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책임당원에게만 주어진다고 한다. 내 한 표가 여당의 미래를 넘어 대한민국의 앞날을 좌우한다는 역사적 소명을 갖고 투표에 임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