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장기 대신 태극기 달고 우승’ 서윤복 선수로 돌아온 배우 임시완
재료 본연의 맛 내는 ‘1947 보스톤’
마라톤에 빠져 이젠 취미로 달려
‘오겜2’ 제안에 1초도 고민 안 해
정체성 찾아 여전히 달리는 배우
27일 개봉하는 강제규 감독 영화 ‘1947 보스톤’에서 마라토너 서윤복 역을 맡은 배우 임시완은 영화 개봉 전부터 ‘체질량 지수 6%’를 만든 사진이 공개되면서 화제가 됐다. 실제 서윤복 선수와 비슷한 몸을 만들기 위해 밥차를 바라만 볼 수밖에 없었던 때를 떠올리며 그는 웃었다.
영화 후반부를 촬영할 때는 극한의 고통을 맛봤다고도 고백했다. “상체가 그대로 드러나는 장면을 찍으려고 며칠 동안 물을 마시지 않았는데 정신이 아찔해지고 혼미해졌다. 말도 안 나오고 힘도 없고, 두 번 다시 못 할 것 같더라”라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영화는 일장기 대신 태극기를 달고 출전해 한국인이 우승한 1947년 미국 보스턴 마라톤 대회를 소재로 한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마라토너 손기정(하정우 분)이 팀을 꾸리고, 고된 훈련 끝에 서윤복 선수가 이 대회에서 우승했다.
임시완은 이번 영화를 찍으면서 새로운 취미도 얻었다. 그는 “코로나19 전에 촬영했는데 이후 마라톤의 매력에 빠져 3년 넘게 취미로 달리고 있다”면서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숫자로 명쾌하게 드러난다. 예컨대 10㎞를 뛸 때 1㎞ 뛰고 나면 9㎞가 남아 있고, 이걸 달성해 가는 방식이 무척 재밌다”고 말했다. 영화 출연 이유로는 강 감독을 우선 꼽았다. 그는 “가족들과 같이 영화관에서 보고 굉장히 충격받았던 영화가 ‘쉬리’(1999)였다. 그런 영화를 만든 분과 작업을 같이 하게 될지 상상도 못 했다”면서 “이번에 참여해 보고 감독님의 인품과 그릇, 작품을 바라보는 눈을 알게 됐고 존경심도 깊어졌다”고 했다.
작품을 고르는 기준에 대해서는 여전히 고민이 많다.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 감정적으로 동하는 영화, 아니면 기술적으로 흥행할 영화 중 어떤 게 좋은지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라면서 “요즘에는 어떤 것을 치열하게 고민하고 분석하는 게 보이는지를 기준으로 삼는다”고 했다.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서는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마라톤에 비유하자면 중간 지점 정도로, 그는 여전히 달리는 배우다.
“한동안은 더 도전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배우 임시완이라는 정체성이 드러나겠죠. 지금은 여전히 그런 과정에 있다고 봐 주시면 좋겠습니다.”
김기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