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 수사단장 보직해임 직후 부하 통화 녹취 공개
군 “동요하는 수사단원 안정을 위해 통화한 것일 뿐”
군인권센터는 24일 김 사령관과 박 전 단장의 부하인 해병대 중앙수사대장(중령)이 지난달 2일 오후 9시 48분부터 4분 42초간 통화한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은 박 전 단장이 임성근 1사단장 등 8명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의 수사 결과를 경북경찰청에 넘긴 후 보직 해임된 날이다.
김 사령관은 중수대장과의 통화에서 “쉽지 않은 부분이다. 내가 봤을 때는 공정하고 원칙대로 이렇게 다 했으니까 기다려보자. 어차피 우리는 진실되게 했기 때문에 잘못된 건 없어. 정훈이가 답답해서 그랬겠지”라고 말했다. 이는 김 사령관이 수사단 수사 결과를 신뢰하고, 박 전 단장의 수사 결과 이첩도 두둔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령관 “국방부 통화기록 있지?” 확인…중수대장 “위법한 지시 느꼈다”
김 사령관은 “정훈이가 국방부 법무관리관하고 얘네들 통화한 거 다 있을 거 아니야? 기록들 다 있지?”라며 박 전 단장과 국방부 사이에 통화한 기록이 존재하는지를 거듭 확인하기도 했다.
다른 주체가 박 전 단장을 지시사항 위반으로 몰 것을 예견하고, 수사단 관계자들이 국방부나 윗선의 외압을 느끼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김 사령관은 지난달 25일 국회 국방위원회 회의에서는 입장을 180도 바꿔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고 후속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는 군의 엄정한 지휘와 명령체계를 위반하는 군 기강 문란 사건까지 있었다”며 박 전 단장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해병대는 이날 녹취록이 공개되자 “해병대사령관이 전 수사단장이 보직 해임되자 동요하고 있는 수사단원들을 안정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통화한 것”이라고 밝혔다.
최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