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 공개

국립국어원,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 공개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2-06 15:02
수정 2020-02-06 15: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라지는 지역의 말, 한 곳에 담아

‘부추’는 지역마다 가리키는 이름이 다르다. 제주도에서는 ‘세우리’라 하고, 전라도에서는 ‘솔’, 충북과 경북에서는 ‘정구지’라고 한다. 경남 서부에서는 ‘소풀(소불)’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은 5일 이런 지역어 정보를 담은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http://dialect.korean.go.kr)을 공개했다.
국어원에 따르면 2015년에 실시한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결과 일상생활에서 지역어 사용 비중이 2010년에서 2015년 사이 7%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어가 급격하게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다.

국어원은 2004년부터 사라져 가는 지역어를 보존하기 위해 전국의 지역어를 조사해 왔다. 이 누리집은 그동안의 조사 결과를 정리해 국민들이 지역어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019년까지 17년간 전국 131개 시군에서 전통적 생활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80대 이상의 제보자를 대상으로 지역어를 모았다.

누리집은 ‘지역어 찾기, 지역어 지도, 지역어 이야기 자료,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역어 찾기’에서는 1200개의 어휘가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 확인할 수 있다. 제공하는 지역어와 음성 자료가 각각 16만 항목에 이른다. ‘지역어 지도’에서는 ‘겨울, 그네, 소꿉놀이’ 등 지역의 방언 차이를 잘 보여 주는 어휘 100여 개의 지역어 지도와 해설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언어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지역어 이야기 자료’에서는 지역의 자료 음성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전국 25개 시군에서 채록한 구술 자료 50시간 분량의 지역어와 표준어 번역, 발화자 음성을 제공하고 있다. ‘문학 속 지역어’에서는 문학작품 772편에 반영돼 있는 지역어 2012항목의 예문과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에는 해녀, 심마니, 부채장 등 17종의 전통 직업에서 사용하는 직업 생활어 764항목과 관련 사진 1033장을 담고 있다.
이경우 기자 w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