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지역의 말, 한 곳에 담아
‘부추’는 지역마다 가리키는 이름이 다르다. 제주도에서는 ‘세우리’라 하고, 전라도에서는 ‘솔’, 충북과 경북에서는 ‘정구지’라고 한다. 경남 서부에서는 ‘소풀(소불)’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은 5일 이런 지역어 정보를 담은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http://dialect.korean.go.kr)을 공개했다.


국어원은 2004년부터 사라져 가는 지역어를 보존하기 위해 전국의 지역어를 조사해 왔다. 이 누리집은 그동안의 조사 결과를 정리해 국민들이 지역어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019년까지 17년간 전국 131개 시군에서 전통적 생활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80대 이상의 제보자를 대상으로 지역어를 모았다.
누리집은 ‘지역어 찾기, 지역어 지도, 지역어 이야기 자료,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역어 찾기’에서는 1200개의 어휘가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 확인할 수 있다. 제공하는 지역어와 음성 자료가 각각 16만 항목에 이른다. ‘지역어 지도’에서는 ‘겨울, 그네, 소꿉놀이’ 등 지역의 방언 차이를 잘 보여 주는 어휘 100여 개의 지역어 지도와 해설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언어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지역어 이야기 자료’에서는 지역의 자료 음성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전국 25개 시군에서 채록한 구술 자료 50시간 분량의 지역어와 표준어 번역, 발화자 음성을 제공하고 있다. ‘문학 속 지역어’에서는 문학작품 772편에 반영돼 있는 지역어 2012항목의 예문과 해설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에는 해녀, 심마니, 부채장 등 17종의 전통 직업에서 사용하는 직업 생활어 764항목과 관련 사진 1033장을 담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