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받은 저신용자 신용등급은 올랐다

대출받은 저신용자 신용등급은 올랐다

입력 2010-03-05 00:00
수정 2010-03-05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팝펀딩 대출자 105명 분석해보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란 말은 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될 때마다 반대 논리로 자주 인용된다. 저신용자 대출지원으로는 금융 소외자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금융 소외자에 대한 대출 지원이 오히려 신용등급을 끌어올린다는 조사결과가 최근 나왔다.

이미지 확대
4일 대안금융회사인 팝펀딩에 따르면 2007년 이후 2차례 이상 팝펀딩에서 대출받은 신용 7~10등급자 105명을 분석한 결과 대출자의 26.7%(28명)가 신용등급이 상승했다. 나머지 73.3%(77명)는 대출 직전의 신용등급을 유지했다. 대출 후 신용등급이 하락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다. 등급별로 초기 대출을 받을 때 10등급이었던 68명 중 17명, 9등급이었던 20명 중 10명, 8등급이었던 11명 중 1명이 각각 1~3단계씩 신용등급이 올랐다. 등급이 오른 사람 중 71.4%(20명)는 1등급, 21.4%(6명)는 2등급, 7.2%(2명)는 3등급이 상승했다.

이렇듯 대출 지원으로 신용등급이 올라간 이유는 2가지 정도로 분석된다. 먼저 저신용자 소액대출의 ‘마중물’ 효과다. 저신용자라고 하더라도 상환 가능성과 의지가 있는 사람이라면 얼마든지 적은 돈으로도 희망의 불씨를 되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막혔던 제도권 금융기관과 거래를 다시 튼 것도 신용등급 상승의 계기가 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신용등급이 올라간 28명 중 27명은 9등급 또는 10등급자로 사실상 제2금융권까지 금융거래가 차단된 사람들이다. 팝펀딩에서는 대출을 원하는 사람이 돈이 필요한 이유와 상환계획을 밝히면 여러명의 소액 대출자가 10만원 미만에서 보증을 서주고 실제 대출은 저축은행에서 이뤄진다. 결국 대출자는 빌린 돈만 갚으면 제도권에 긍정적인 거래실적이 쌓이게 되는 셈이다.

최민호 팝펀딩 팀장은 “결국 소액 대출이 이들 스스로 등급을 올리는 마중물 역할을 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3-0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