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53세면 예전 같으면 손자 볼 나이” 친한계 “李, 세대교체 이미지 독점 원하나”

이준석 “53세면 예전 같으면 손자 볼 나이” 친한계 “李, 세대교체 이미지 독점 원하나”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5-02-09 23:49
수정 2025-02-09 2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젊은 보수 대권주자’ 주도권 경쟁

친한계 “조선시대 가서 정치해라”
李측 “깨어 있는 생각 이야기한 것”
이미지 확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연합뉴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연합뉴스


조기 대선을 겨냥해 ‘세대교체론’을 들고 나온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측 인사들 간의 신경전이 격화되고 있다. ‘젊은 보수 주자’ 입지를 선점하기 위해 서로 인신 공격성 발언까지 하며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양상이다.

시작은 이 의원을 향해 1973년생 이하의 친한(친한동훈)계 모임인 ‘언더73’ 가입을 고려해 보라고 한 친한계 류제화 세종갑 당협위원장의 공개 발언이다. 여기에 이 의원은 지난 6일 라디오에서 한 전 대표를 겨냥해 “정치 재개 선언을 하기 전에 콘셉트가 잘못 잡힌 게 아닌가 싶다. 53세면 예전 같으면 손자 볼 나이”라며 각을 세웠다.

그러자 친한계인 신지호 전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은 다음날 라디오에서 “다음달 만 40세가 되는 이 의원의 나이도 조선 시대에는 할아버지 소리를 듣는다”며 “이 의원은 조선왕조 시대로 다시 가서 정치를 하면 될 것 같다”고 불쾌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어떻게 그런 시대 퇴행적 감각으로 정치를 하려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 의원과 한 전 대표는 개혁 보수, 젊은 보수 주자 등으로 이미지가 겹친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런 가운데 양측이 나란히 세대교체론을 내세우면서 조기 대선이 확정되기도 전에 대립 구도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친한계 한 인사는 9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세대교체 이미지를 이 의원이 혼자 독점하고 싶어 그랬을 것”이라며 “(대권 주자 중) 자신보다 더 젊은 사람이 없다는 데서 나오는 오만함의 표현”이라고 분석했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정치에선 물리적인 나이보다 깨어 있는 생각, 혁신적이고 능력 있는 기준이 중요한 것이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2025-02-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