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성세대와 90년대생 소통으로 공감대 형성했으면”

“기성세대와 90년대생 소통으로 공감대 형성했으면”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9-08-07 22:34
수정 2019-08-08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文, 靑 직원에 ‘90년생이 온다’ 책 선물

휴가 기간 책 읽으며 새 세대 이해 도움
임홍택 작가 대기업 신입사원 교육 담당
“대화 없이 세대갈등으로 가는 경우 많아
靑 선물 감사… 더욱 소통하는 계기되길”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전 직원에게 임홍택 작가의 책 ‘90년생이 온다’(웨일북)를 선물했다. 이 책은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 몰려오는 1990년대생들과의 공존을 위해 이들이 어떤 세대인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전 직원에게 임홍택 작가의 책 ‘90년생이 온다’(웨일북)를 선물했다. 이 책은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 몰려오는 1990년대생들과의 공존을 위해 이들이 어떤 세대인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청와대 제공
“새로운 세대를 알아야 그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고 우리 전체의 미래도 준비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경험한 젊은 시절, 그러나 지금 우리는 20대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이미지 확대
임홍택 작가 서울신문 DB
임홍택 작가
서울신문 DB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직원들에게 이 같은 메시지를 담아 책 ‘90년생이 온다’를 선물했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휴가 기간을 이용해 읽으면서 새로운 세대를 이해하는 데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직원들에게 주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 직원들에게 이 책을 선물한 것은 이제 막 사회에 진출해 각 분야에서 자리를 잡아 가고 있는 1990년대생들과 기성세대의 소통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울신문이 지난달 창간 115주년을 맞아 기획한 ‘90년대생 신주류가 떴다’ 시리즈에서도 기성세대와 충돌하며 자신들의 세상을 만들어 가고 있는 20대들의 모습이 잘 드러났다.

지난해 11월 책을 낸 임홍택 작가는 대기업에서 신입사원 교육과 브랜드 마케팅 등의 업무를 담당하다가 대학생, 인턴사원 등 90년대생들을 접하며 많은 차이를 느낀 것을 계기로 이들을 분석했다. 책에는 고학력에 높은 스펙을 지니고도 9급 공무원시험에 몰리는 현상이나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외치며 자기 할 일만 정확히 끝내는 20대들의 모습이 생생하게 그려졌다. 복잡하고 어려운 것을 싫어하며 쉽고 간단한 것 또는 ‘B급’이나 ‘병맛’ 유머코드를 선호하는 90년대생의 특성도 분석했다.

임 작가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책을 쓴 목적이 기성세대를 비판하거나 세대 갈등을 조정하기 위해서도 아니고 90년대생들을 무조건 이해하고 받아들이라는 것도 아니었다”면서 “그동안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대화를 나누는 데 익숙하지 않은 면이 많았고, 그것이 특히 세대 간 갈등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아 다 같이 서로 솔직한 대화를 나눠 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젊은 사람은 이래서 안돼”, “꼰대들은 왜 저럴까”라고 불만을 쏟아낼 뿐, 이미 10년 전부터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후반~1990년대생)와 중국의 ‘주링허우 세대’(90년대생)들이 가져오는 변화를 인식했으면서도 구체적으로 대응하는 소통 경험은 서툴렀다고 지적한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 직원들에게 책을 선물한 데 대해 임 작가는 “감사한 일”이라면서 “더욱더 활발하게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19-08-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