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탐험 새장… 쇄빙능력 과제
국내 첫 쇄빙연구선 ‘아라온’호가 남극 조사를 마치고 18일 낮 12시30분(한국시간) 중간 기항지인 뉴질랜드 크라이스트 처치 리틀턴항으로 돌아왔다. 지난달 12일 남극 대륙기지 후보지에 대한 정밀조사와 쇄빙능력 시험을 위해 남극으로 출항한 지 38일 만이다. 아라온호의 항해로 대상지 선정 작업 속도는 빨라지고 있다. 남극기지 건설 후보지인 서남극의 케이프 벅스와 테라노바 베이에서 정밀조사가 진행됐고, 쇄빙능력 시험도 이뤄졌다. 아라온호에 탑승한 조사단 연구원 23명은 오는 21일 크라이스트 처치를 떠나 23일쯤 비행기로 인천공항에 도착한다. 아라온호도 다음달 13일 인천항에 돌아올 예정이다.정부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환경부 등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 상반기 중 최종 건설후보지를 선정할 방침이다. 한국해양연구소 부설 극지연구소측은 이번 항해연구를 통해 향후 남극조약협의당사국회의(ATCM)에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아라온호가 쇄빙능력 시험과 남극기지 후보지 탐사 임무를 마치고 18일 낮 뉴질랜드 크라이스트 처치 리틀턴항으로 들어오고 있다.
크라이스트 처치 연합뉴스
크라이스트 처치 연합뉴스
●“극지연구 비약적 발전 기대”
“한국 극지 연구사업의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됐다.”
윤석순(73) 극지연구진흥회장은 서울신문과 인터뷰에서 아라온호의 귀항에 남다른 감회를 드러냈다. 1985년 11월, 미지의 대륙 남극에 우리나라가 첫 발을 내디뎠을 때 윤 회장은 남극관측탐험대 단장이었다. 이후 남극 세종기지 설립의 산파역을 맡았다. 그는 “남극에 상주기지를 갖고 있는 20개국 가운데 한국과 폴란드만 쇄빙선이 없어 연구다운 연구를 못했다.”면서 “비약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항해는 일단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아라온호는 남극 대륙기지 제1후보지인 케이프 벅스와 제2후보지인 테라노바 베이에 대한 정밀조사를 했다. 또 지난달 29일 케이프벅스 주변 결빙해역에서는 1.1m 두께의 다년빙을 3.5노트의 속도로 깨는데 성공했다.
오정환 극지연구소 대륙기지단장은 “케이프 벅스는 접근성과 기상조건이 열악한 단점이 있지만 주변에 연구기지가 없어 독자 연구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테라노바 베이는 접근성과 기상조건 등은 낫다.”고 말했다.
이어 “1988년 건설된 세종기지는 남극의 거의 끝인 킹조지섬에 위치해 남극 연구가 힘든 맹점을 갖고 있다.”면서 “제2기지에서는 지구온난화, 빙하, 천문, 우주, 운석, 지구자기 등 남위 70도 이상의 남극대륙에서만 가능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게 될 것 ”이라고 덧붙였다.
항해에 동행한 건설·환경 등 분야별 전문가 중에는 쇄빙실험을 위한 러시아 전문가 3명도 들어있다. 20일에는 국토해양부 관계자들과 이홍금 극지연구소장이 참석한 가운데 아라온호 선상에서 남극 첫 탐사 보고회가 열린다.
●일부 직진·선회테스트 실패
하지만 ‘기대이상’이란 평가와 달리 아라온호의 쇄빙능력시험에서 문제점들이 노출됐다는 지적도 있다.
일부 탑승자들은 “쇄빙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러시아측 조건은 1m 두께와 650킬로파스칼(㎪) 강도의 다년생 평탄빙이었지만 이런 얼음은 11월에나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적합한 얼음을 찾지 못한 아라온호가 시간과 연료를 소모하고도 테스트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직진·후진·선회·유턴 등 15개 항목에서 두 차례 이상 쇄빙시험을 계획했지만 실제로 직진 3회, 후진 1회, 선회 1회, 빙맥 1회만을 시행하는 데 그쳤다는 주장도 있다. 더욱이 직진테스트에선 3회 중 2회를 실패했고, 선회테스트는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오 단장은 “쇄빙기준에 적합한 얼음을 찾지 못 했을 뿐 러시아 전문가들은 전체적으로 아라온호의 쇄빙능력에 만족감을 나타냈다.”고 반박했다.
극지연구소측은 아라온호가 점검을 받은 뒤 올 여름 다시 북극 운항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0-02-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