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시장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주가연계증권(ELS) 수익률 조작 의혹에 대해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부장 진경준 )는 4일 캐나다왕립은행(RBC), BNP파리바, 미래에셋증권, 대우증권 등 4개 금융기관이 대량매도로 주가를 떨어뜨려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입혔다는 의혹을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통보받아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캐나다왕립은행이 2008년 4월 한화증권을 통해 판매한 1년 만기 ELS상품의 경우, 포스코와 SK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삼아 기초자산의 주가가 만기 때 설정일 당시의 75% 이상이면 연 22.0%의 수익을 지급하기로 한 상품이다. 이 기준이 충족되면 투자자들은 고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지난해 4월 만기 상환일을 앞두고 대규모 매도물량을 쏟아내면서 SK의 주가가 75%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고수익을 안겨 주기에는 부담을 느낀 금융기관이 고의적으로 대량매도 주문을 내서 주가를 낮춘 게 아니냐는 비판이 일었다. 투자자들은 이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금감원은 이들 상품을 점검한 뒤 캐나다왕립은행을 포함에 4개 금융기관을 검찰에 통보조치했다.
그러나 금융기관들은 ELS 만기 때가 되면 상환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도 보유한 주식을 팔아야 한다는 점 등을 내세워 의도적 대량매도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또 프로그램에 따른 매도와 의도적인 대량매도를 구분하기 힘들다는 옹호론도 제기됐다. 때문에 검찰 수사는 이들 금융기관들이 만기일 막판에 대량매도 주문을 내는 과정에서 고의성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2부(부장 진경준 )는 4일 캐나다왕립은행(RBC), BNP파리바, 미래에셋증권, 대우증권 등 4개 금융기관이 대량매도로 주가를 떨어뜨려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입혔다는 의혹을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통보받아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캐나다왕립은행이 2008년 4월 한화증권을 통해 판매한 1년 만기 ELS상품의 경우, 포스코와 SK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삼아 기초자산의 주가가 만기 때 설정일 당시의 75% 이상이면 연 22.0%의 수익을 지급하기로 한 상품이다. 이 기준이 충족되면 투자자들은 고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나, 지난해 4월 만기 상환일을 앞두고 대규모 매도물량을 쏟아내면서 SK의 주가가 75%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고수익을 안겨 주기에는 부담을 느낀 금융기관이 고의적으로 대량매도 주문을 내서 주가를 낮춘 게 아니냐는 비판이 일었다. 투자자들은 이들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금감원은 이들 상품을 점검한 뒤 캐나다왕립은행을 포함에 4개 금융기관을 검찰에 통보조치했다.
그러나 금융기관들은 ELS 만기 때가 되면 상환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라도 보유한 주식을 팔아야 한다는 점 등을 내세워 의도적 대량매도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또 프로그램에 따른 매도와 의도적인 대량매도를 구분하기 힘들다는 옹호론도 제기됐다. 때문에 검찰 수사는 이들 금융기관들이 만기일 막판에 대량매도 주문을 내는 과정에서 고의성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3-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