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한 10대’…영아 살해 37% 20세 미만

‘비정한 10대’…영아 살해 37% 20세 미만

입력 2010-03-05 00:00
수정 2010-03-05 08: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갓 낳은 아이를 곧바로 숨지게 한 혐의(영아 살해)로 붙잡힌 3명 중 약 1명이 10대 청소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경찰청에 따르면 2005년부터 지난해 7월 말까지 영아 살해 혐의로 검거된 피의자는 총 46명으로 이 가운데 17명(37%)이 20세 이하였다.

21∼30세는 16명(35%)으로 뒤를 이었고, 31∼40세 8명(17%), 41∼50세 1명(2%) 등이었다.

연도별 검거인원을 보면 2005년 12명에서 2006년 3명으로 급격히 줄었다가 2007년 13명, 2008년 12명, 지난해 7월 말까지 6명 등으로 늘어 2006년을 제외하면 해마다 비슷한 수준이었다.

경제적 자립 능력을 갖춘 30대 이상도 약 28%나 되지만, 실제 이들은 임신과 출산으로 경제 활동을 할 수 없게 됐거나 빈곤 때문에 범죄를 저지른 것으로 경찰은 분석했다.

형법 제251조가 규정한 영아살해죄를 저지르면 10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하지만 실제 처벌은 관대하게 이뤄지고 있다.

전체 46명 가운데 구속된 이는 14명(30%)에 그쳤고 나머지 32명(70%)은 불구속입건됐다.

아이를 낳고서 양육하기 어렵거나, 성폭행 등으로 원치 않는 임신으로 출산했을 때 등 영아 살해 동기에 참작할만한 사유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찰 관계자는 “영아 살해 피의자는 대개 구속영장을 신청하지만 검찰과 조율 과정에서 불구속으로 바뀌거나 법원에서 영장을 기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