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가 듣지 않는 다제내성균 감염 사례가 국내서 처음 발견됨에 따라 우리나라가 더 이상 슈퍼박테리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새삼 확인됐다.
병만 나면 항생제부터 찾는 한국인의 습성 탓에 진즉부터 제기된 우려가 현실화한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정책보고서인 ‘2009년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조사’에 따르면 국내 항생제·항진균제·항바이러스제 등을 포함하는 항감염약의 1000명당 1일 소비량은 OECD 국가 중 1위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항생제를 과다 복용하면 다제내성균에 감염될 확률도 높아지는 것일까. 의료진들은 “항생제의 과다 복용과 다제내성균 발생 빈도는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다.”면서도, “그러나 다제내성균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항생제 남용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석훈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교실 교수는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내성은 세균이 가지는 내성이지 신체의 내성은 아니다.”면서 “그러나 국내에서 계속 발생해 왔고, 앞으로도 더 강한 다제내성균이 발생할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는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이 다제내성균에 취약한 이유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 2008년 이후 주요국가별 NDM-1 감염사례 보고 건수에서도 아시아가 70% 이상을 차지했다.
게다가 한반도의 풍토는 다제내성균에 더욱 더 취약한 지역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9월 일본에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라는 다제내성균이 직·간접 원인이 돼 수십명이 사망했을 때도 의료진들은 일본보다 한국의 내성균 수가 더 많다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국내 다제내성균의 감염 경로를 규명하면 자연스레 원인도 밝혀지겠지만 현재로서는 항생제 과다처방이 다제내성균을 키우는 원인이었음은 거의 확실하다는 게 보건의료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병만 나면 항생제부터 찾는 한국인의 습성 탓에 진즉부터 제기된 우려가 현실화한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정책보고서인 ‘2009년도 의약품 소비량 및 판매액 통계조사’에 따르면 국내 항생제·항진균제·항바이러스제 등을 포함하는 항감염약의 1000명당 1일 소비량은 OECD 국가 중 1위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항생제를 과다 복용하면 다제내성균에 감염될 확률도 높아지는 것일까. 의료진들은 “항생제의 과다 복용과 다제내성균 발생 빈도는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다.”면서도, “그러나 다제내성균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항생제 남용인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석훈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교실 교수는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내성은 세균이 가지는 내성이지 신체의 내성은 아니다.”면서 “그러나 국내에서 계속 발생해 왔고, 앞으로도 더 강한 다제내성균이 발생할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의료계에서는 한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이 다제내성균에 취약한 이유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 2008년 이후 주요국가별 NDM-1 감염사례 보고 건수에서도 아시아가 70% 이상을 차지했다.
게다가 한반도의 풍토는 다제내성균에 더욱 더 취약한 지역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9월 일본에서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라는 다제내성균이 직·간접 원인이 돼 수십명이 사망했을 때도 의료진들은 일본보다 한국의 내성균 수가 더 많다고 강조했다.
결과적으로, 국내 다제내성균의 감염 경로를 규명하면 자연스레 원인도 밝혀지겠지만 현재로서는 항생제 과다처방이 다제내성균을 키우는 원인이었음은 거의 확실하다는 게 보건의료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0-12-10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