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가 겸 방송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유튜브 채널 ‘백종원’ 캡처
사업가 겸 방송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지역 축제 컨설팅 사업으로 약 100억원을 벌어들였다고 한 언론 보도에 대해 정면 반박했다.
지난달 27일 유튜브 채널 ‘백종원’에 ‘이건 짚고 넘어가야겠어요’라는 제목의 영상에서 백 대표는 “올해 지역 축제 컨설팅 사업의 반응이 좋았다”며 “지금까지의 축제는 ‘지역 특산물을 활용하면 좋은 상품이 될 수도 있구나’하고 불을 붙이는 거였다”며 예산, 홍성, 통영에서 연 지역 축제를 성공 예시로 들었다.
백 대표는 “결국은 지역 축제라는 게 짧게는 지역의 특산물을 알리고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도 있지만 결국은 지역 축제를 계속하다 보면서 지역에 맞는 지역 개발을 한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그는 ‘백종원이 지방자치단체 용역 수십건을 싹쓸이했다’는 내용의 한 기사를 언급하며 “이 이야기는 하고 넘어가야겠다”며 기사 내용 중 사실과 다른 내용에 대해 해명했다.


사업가 겸 방송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유튜브 채널 ‘백종원’ 캡처
백 대표는 “우리가 작년에 4개, 올해 10개 축제를 맡았다. 우리나라의 크고 작은 지역 축제가 1100여개 정도 되는데 그중에 14개 맡은 게 싹쓸이냐”며 “그것도 2년에 걸쳐 14개 맡은 건데 어떻게 ‘일감 몰아주기’냐”고 반문했다.
기사 내용 중 2023~2024년 백 대표의 회사가 지역 축제 컨설팅 사업으로 100억원 안팎을 벌어들였을 것이란 부분에 대해서는 “이게 사실이면 우리 회사 주가가 어마어마하게 올라갔을 것이다. 아직까진 그렇지 않다. 훨씬 못 미친다”고 했다.
백 대표는 “수주한 금액이 (전부) 순수익도 아니고 대부분 비용으로 처리되고 나가야 할 돈”이라며 “지역 축제로만 100억원을 벌 수 있으면 (다른 사업 안 하고) 축제만 계속 맡아서 진행했을 것”이라고 했다.


사업가 겸 방송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유튜브 채널 ‘백종원’ 캡처
이어 “용역 비용의 대부분은 지역 축제에 필요한 메뉴 컨설팅, 메뉴 교육, 장비·설비, 아티스트 섭외비, 무대 장치, 축제 운영 인건비 등에 사용된다”며 “여기에 우리 회사 직원 인건비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백 대표는 “물론 회사에 남는 건 있다”며 “돈보다는 축제에서 개발한 메뉴가 우리 회사에 남는다”고 했다. 그는 “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해 메뉴를 개발하고 테스트한 결과물을 우리가 가진 뒤 나중에 그걸 상품화해서 발생할 수익을 바라본다. 언제든지 가맹 사업에 브랜드로 쓸 수 있다는 연구 자료로 쓰기에 득이 된다”고 덧붙였다.
백 대표는 자사의 지역 축제 프로젝트와 관련해 잘못된 정보가 퍼지는 것에 안타까움을 드러내며 “우리 회사가 싹쓸이 못 하고 있고, 100억원 수익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도 “내년에도, 내후년에도 축제를 계속해서 분명히 수익을 낼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