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이트 의심’ 의사 1000명 중 100명 넘게 피의자 전환…고려제약 리베이트 수사 속도

‘리베이트 의심’ 의사 1000명 중 100명 넘게 피의자 전환…고려제약 리베이트 수사 속도

곽진웅 기자
곽진웅 기자
입력 2024-07-01 12:00
수정 2024-07-01 1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리베이트 관련 복지부 수사의뢰 6건도 서울청서 수사

이미지 확대
제약사로부터 현금을 포함해 가전제품 같은 각종 물품이나 골프 접대 등 불법 리베이트를 받은 것으로 의심되는 의사 1000여명 중 100명 이상이 피의자로 입건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경찰 수사가 초기 단계인 만큼 앞으로 피의자로 전환되는 의사 숫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형사기동대는 고려제약에서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의사 100여명을 추가로 입건했다고 1일 밝혔다. 수사선상에 이름을 올린 의료진은 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병원 등 이른바 ‘빅5’를 포함한 대학병원뿐만 아니라 2차 병원, 동네 병의원 등 전국적으로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이날 열린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제약회사 관련자들을 조사하고 압수물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의사 100명 이상을 추가로 입건했다”며 “입건된 의사 수는 더 늘어날 수 있고, 이들을 상대로 출석 일자를 조율해 신속하게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고려제약이 1000명이 넘는 의사에게 현금, 다양한 물품, 골프 접대를 했다고 명시된 내부 문건 등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제약은 지난해 기준 매출 814억원 규모의 중소 제약사로 경찰이 다른 중소 규모 제약사들의 리베이트 관행에 대해 파헤치기 시작하면 연루된 의사와 약사 등이 추가 수사 대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

경찰은 의료계 전반에 만연한 리베이트 관행에 대한 전방위적인 수사 압박을 이어갈 방침이다. 경찰은 최근 경기 안양 소재 한 병원의 리베이트 사건과 관련해서도 의사 1명 등 병원 관계자 5명을 입건해 수사 중이다. 또 보건복지부에서 리베이트 관련 수사 의뢰한 6건도 서류 검토에 나선 만큼 조만간 수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08년 리베이트를 주고받은 의사와 제약사 모두를 처벌할 수 있는 ‘리베이트 쌍벌제’를 도입했지만 이후에도 리베이트 사건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