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교육감들 “교육부와 신뢰 관계 재검토”

전국 교육감들 “교육부와 신뢰 관계 재검토”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9-08-07 22:30
수정 2019-08-08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사고 지정 취소 둘러싸고 갈등 깊어져

학교 비정규직 처우 등 정책 엇박자 우려
전북교육감, 내주 상산고 부동의訴 제기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정 취소를 둘러싸고 교육부와 갈등을 빚어 온 전국 17개 시도교육감이 “교육부와의 신뢰 관계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선포했다. 이에 따라 학교 비정규직 처우 개선과 고교 무상교육 재원 분담 등 여러 현안을 놓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간 ‘엇박자’가 발생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는 7일 충북 청주시 한국교원대에서 협의회 임시총회를 진행한 뒤 발표한 입장문에서 “대통령 공약과 국정과제로 제시된 고교 체제 개편 등을 교육부가 이행하지 않고 사문화시켜 깊이 유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누리과정 대란 속에서 교육감들은 큰 고통을 감내했고, 그럼에도 고교 무상교육 실시를 위해 먼저 팔을 걷어붙였다”며 “교육감은 허리띠를 졸라매는데 교육 자치 정책 협의는 여전히 답보 상태”라고 주장했다.

앞서 협의회장인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모두 발언에서 “상산고의 자사고 지정 취소에 대한 교육부 장관의 부동의 결정은 어느 한 지역, 해당 교육청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교육 체제 전반의 문제”라며 “교육부와의 새로운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협의회는 11월 총회에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당장 2차 파업 가능성이 큰 학교 비정규직 문제에서부터 교육감들이 비협조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비정규직 문제는 사용자인 교육감들이 교섭 당사자이지만 예산 한계를 이유로 처우 개선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반면 교육부는 파업 등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측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내년부터 5년간 교육청이 절반 부담하는 것으로 정리된 고교 무상교육 재원 문제도 교육청이 비협조로 입장을 선회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총회 이후 열린 ‘교육 자치 콘퍼런스 토크콘서트’에 참석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부가 교육 자치를 가로막는 악의 근원이 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면서도 “서로 신뢰를 무너뜨리거나 한뜻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김 교육감은 다음주쯤 헌법재판소나 대법원에 상산고 지정 취소 부동의 관련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에코친구들과 제18차 고덕천 정화활동 함께 펼쳐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6일 강동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환경활동 모임인 ‘에코친구’와 함께 고덕천 정화활동을 펼친 소식을 전했다. 이날 활동에는 문현섭 구의원도 함께 했다. 고덕천 일대에서 오후 2시부터 진행된 이번 정화활동은 쓰레기 수거와 환경정비를 중심으로 펼쳐졌으며, 지역사회에 자연보호 의식을 확산하고 회원 간 친목을 도모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특히 박춘선 의원은 행사 내내 에코친구 회원들과 함께 직접 쓰레기를 줍고 고덕천을 정비하며, 행동으로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몸소 실천했다. ‘강동엄마’ 박춘선 의원은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환경 정화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생태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특히 고덕천을 중심으로 지역 환경 보호와 생태계 복원을 위해 꾸준히 활동하며 주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환경 캠페인을 펼쳐왔다. 박 의원이 지역주민들과 함께 힘을 합쳐 지속적으로 펼쳐나가는 이로운 활동은 작은 변화를 하나둘 쌓아가며 고덕천 환경을 눈에 띄게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민들 역시 “고덕천이 전보다 훨씬 깨끗해졌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체감하고 있으며, 이는 박 의원과 에코친구들, 그리고 지역환경단체 회원들의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에코친구들과 제18차 고덕천 정화활동 함께 펼쳐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8-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